청년이천선 ()

목차
교통
지명
북한의 황해북도 평산군 평산과 강원도 세포군 세포를 연결하는 철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황해북도 평산군 평산과 강원도 세포군 세포를 연결하는 철도.
내용

평산역∼지하역을 잇는 기존의 노선에 세포역까지 연장한 철도이다. 청년돌격대가 부설한 철도로 1971년에 공사를 시작해 1년 만인 1972년에 완공되었으며, 1980년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길이는 140.9㎞이다. 평산군∼신계군∼판교군∼이천군∼평강군∼세포군을 지나며, 여기에 평산 · 기탄 · 첨고 · 신계 · 정봉 · 지하 · 지상 · 동정 · 송정 · 이천 · 하인 · 문동 · 판교 · 기산 · 후평 · 서하 · 약수 · 백산 · 신생 · 새마을 · 세포의 21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평산에서 정봉까지는 예성강과 그 지류의 넓은 골짜기를 따르다가, 황해북도와 강원도의 접경지대에서는 아호비령산줄기를 가로지르며, 이천군에 접어들어서는 임진강의 지류인 좁은 고미탄천 골짜기를 따라 세포까지 달린다. 북부의 평라선(평양∼나진)과 마찬가지로 남부에 있는 이 철도노선도 동서횡단철도이다. 이 철도는 북한에서 손꼽히는 군사용 철도로서 전방 4개 군단의 물자가 이 철도를 따라 수송된다. 비록 단선철도이기는 하지만 북한의 전국적 규모에서 보면 이 철도는 경의선(평양∼평산)∼청년이천선(평산∼세포)∼강원선(세포∼고원)∼평라선(고원∼평양)을 연결하는 순환철도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브리태니커』 (브리태니커·동아일보,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4)
「북은 왜 한반도 종단철도(TKR)를 두려워하나」(『신동아(新東亞)』통권 574호, 2007.7.25)
구글 어스(earth.google.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