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 은입사 정병 (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정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 정병(靑銅銀入絲淨甁)
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5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로 108 (하북면, 통도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정병.
내용

현재 높이 29㎝, 몸둘레 29.5㎝, 밑지름 10㎝.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중생(衆生)들의 고통을 덜어주고 목마름을 없애준다 하여 일명 ‘감로병(甘露甁)’이라고도 부르는 정병은 부처님 앞에 올리는 깨끗한 물(淨水)을 담는 물병(水甁)으로서, 보통의 병 모양을 한 것과 중간 마디가 있는 기다란 목에 몸통 어깨에 주구(注口)가 달린 특이 형태 등 두 종류가 있다.

현재 통도사 성보박물관(聖寶博物館)에 보관 · 전시되고 있는 특이 형태의 이 정병은, 중간 마디 윗쪽의 물을 넣는 주둥이 부분과 물을 따르는 주구만 없어졌을 뿐 거의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결실된 주구의 흔적이 뚜렷한 몸통에는 풍만한 어깨로부터 날씬하게 쭉 뻗은 하체에 이르기까지 운룡문(雲龍文)을 위시한 연화문(蓮花文)과 여의두문(如意頭文), 파상문(波狀文) 등의 문양이 빈틈없이 세선(細線) 은입사되어 있으며, 여의두문으로 몸통과 구분되어 있는 목과 중간마다 윗면에는 연화문이 멋드러지게 장식되었다.

몸통 좌 · 우로 서로 마주 보게끔 두 개의 원을 마련하고 각각 구름 속에서 노니는 모습을 시문(施紋)한 용 문양은 부릅 뜬 눈과 이빨 · 수염 · 감기 · 발톱 등이 매우 정교하며, 두 원 사이의 여백과 몸통 상 · 하단의 연화문과 여의두문, 그리고 굽받침의 파도 모양의 파상문은 도안 감각이 뛰어나다.

전반적으로 살펴보아 세련되고 우아한 기형과 정교하고 치밀한 은입사기법 등의 뛰어난 조형성과 미적 감각은,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국보, 1962년 지정)을 비롯한 고려시대의 청동제은입사정병들과 비견된다 하겠다.

참고문헌

『입사공예』(국립중앙박물관,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창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