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성천댁 ( )

목차
관련 정보
청운동 성천댁
청운동 성천댁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에 있는 조선후기 행장능참봉을 역임한 임춘섭 관련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송 성천댁(靑松 星川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01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북 청송군 청송읍 서당길 12 (청운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에 있는 조선후기 행장능참봉을 역임한 임춘섭 관련 주택.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현 소유자의 2대조로 조선 고종 때 행장능참봉(行莊陵參奉)을 지낸 임춘섭(林春燮)이 매입하였다고 전해올 뿐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다.

마을이 서쪽으로 올라간 경사지에 자리를 잡고 있어 100여 호나 되는 대부분의 주택들은 대체로 동쪽의 낮은 지역에 흐르는 용전천(龍纏川)을 내려다보며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집은 마을 서쪽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대지 남쪽의 길을 향하여 남향 대문을 세웠다.

마당을 끼고 □자집이 배치되었는데 사랑방과 통래칸[通來間]이 남향하여 정면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자형 평면에 사랑뒷방이 서쪽으로 한 칸 돌출하여 □형으로 되었다. 안채에서 독립하여 있는 행랑채는 3칸의 오른쪽 끝이 대문간이고 어칸[御間]이 마루방으로 꾸며져 있으며 좌측은 온돌방이다.

대문간에서 바라본 긴 남쪽 정면에 설치된 통래칸을 들어서면 안마당에 이르고 좌측에 동향하여 전면이 개방된 안마루가 놓여 있다. 마루 좌측에는 사랑방이, 우측에는 뒷방과 큰 방이 대칭으로 배치되었고 앞채에 부엌 · 고방 · 외양간이 꾸며져 있다.

손바닥만한 안마당 위에는 지붕처마가 사방에서 돌출하여 하늘이 조그맣게 보인다. 만약 좁은 안마당을 지붕으로 다 덮어버렸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평면구성은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볼 수 있는 9칸 똬리집과 거의 흡사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내객(來客)의 사랑방 출입은 앞마당에서 직접 사랑방으로 드나들게 하였고, 강원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래칸에서 사랑방으로 드나들 수 있는 문을 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집은 원래 사랑방의 통래칸 쪽 반 칸이 쌀뒤주였다고 한다.

마루 상부의 가구(架構)는 삼량가(三樑架: 보를 세 줄로 놓아 한 간 통으로 집을 짓는 방식)이지만 좀 특별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사랑방 벽과 큰방의 모서리에 세운 기둥 위에 마루를 가로질러 큰 부재를 보냈다.

그리고 그 위에 보를 걸쳐서 마당 쪽으로 외팔보처럼 돌출시키고 그 끝에 처마도리를 놓아 지붕을 구성하였다. 마루에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뒷벽에는 기둥 좌우에 외여닫이 널문을 한두 짝씩 달았다. 안채는 기와집이며, 행랑채는 초가지붕이었으나 최근에 기와지붕으로 수리하였다.

이 집의 평면구성은 □자형의 최소 규모로서 청송지방에서 볼 수 있는 □형의 배치방식을 수용하고 있으며, 강원도 남부지역의 9칸 똬리집과도 통하는 면이 있어 민가평면 연구의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