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음각 연화당초문 매병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43.9㎝, 입지름 7.2㎝, 밑지름 15.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입과 풍만한 어깨와 몸체, 그리고 잘록해진 허리 밑에서부터 밖으로 약간 벌어진 유려한 곡선에서 고려적인 감각으로 세련되게 제작된 전형적인 매병임을 알 수 있다. 입은 통상적인 매병 양식으로 각이 져 있으며 약간 밖으로 벌어졌다. 입 부분의 일부가 수리되었다.

몸통에는 연화당초문이 전면에 힘차고 큼직하게 반양각(半陽刻)으로 시문되었다. 굽의 언저리인 하부에는 음각으로 뇌문대(雷文帶)를 둘렀다.

맑고 투명한 담녹(淡綠)의 회청색(灰靑色) 청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굵은 망상(網狀)의 빙렬(氷裂)이 나 있다. 굽은 고려 매병의 전형적인 안다리굽이며, 착지면(着地面)은 유약을 훑어내고 내화토(耐火土) 모래비짐눈을 여덟 군데에 받쳐 구웠다.

유약의 아름다움, 질의 정치(精緻)함, 기형의 안정세 등으로 보아 고려 순청자의 최성기인 12세기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