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인물형 주전자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인물형 주전자
청자 인물형 주전자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주자.
이칭
이칭
청자 인형 주자, 청자 인물형 주자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인물형 주전자(靑磁 人物形 注子)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주자.
내용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8㎝, 밑지름 11.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주전자는 1971년 대구시 교외의 한 과수원에서 발견되어 매장유산으로 국고에 귀속된 것으로, 출토지가 분명한 13세기 전반의 뛰어난 상형 청자(象形靑磁) 중 하나이다.

복숭아 여섯 개를 얹은 능화형(菱花形) 쟁반을 두 손으로 받쳐 든 도인(道人)의 모습을 상형한 주자이다. 도인은 머리에 관모(또는 보관)를 쓰고 도포를 걸쳤으며 양각(陽刻)의 둥근 운두좌(雲頭座) 위에 앉아 있다. 관모 전면 중앙부에는 새 모양을 형상하여 붙였다. 관모(冠帽) 부분에 구멍을 뚫어 물을 넣을 수 있게 만들었고, 받쳐 든 복숭아 가운데에 작은 주구(注口)를 만들었으나 그 끝은 깨져 없어졌으며 뚜껑도 결실(缺失)되었다. 등 뒤에 손잡이를 붙였고 손잡이 위에는 작은 고리를 만들어 붙였다.

도인의 두 눈과 새 모양 장식의 두 눈에는 철화안료로 점을 찍었으며, 관모 · 옷깃 · 옷고름 · 복숭아 · 주구 · 주연(周緣) 및 양손의 손톱에 백토(白土)을 찍어 장식했다. 또한 관모 및 의복에 음각으로 화문(花文) · 사격자문(斜格字文) · 당초문이 시문되었다.

맑고 광택이 나는 담록의 청자유약이 전면에 두껍게 시유되었고, 부분적으로 빙렬이 조금 있다. 관모 일부의 유약은 산화되어 녹갈색을 띤다. 굽은 안쪽을 파서 성형하였으며, 유약을 닦아낸 굽 언저리를 따라 여섯 개의 내화토(耐火土)와 모래가 섞인 빚음 받침 자국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문화재대관』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