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수당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정수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정수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888년(고종 25) 7대손 덕의(德誼) 등이 간행하였다. 원집(原集)과 속집(續集)으로 되어 있는데, 원집의 책머리에 송병선(宋秉璿)·노원(盧元)의 서문과 권말에 11대손 직현(直玄) 등의 발문 3편이 있고, 속집에는 9대손 환주(煥周)의 서문과 8대손 동휘(東徽)의 발문이 있다.

원집 권1·2에 부(賦) 1편, 시·만(輓) 137수, 서(書) 1편, 제문 28편, 발문 2편, 권3·4에 만옹전(晩翁傳) 1편, 서창만록(書窓漫錄) 1편, 부록으로 행록(行錄)·묘갈명 각 1편, 제문 3편, 도곡사춘추향축문(道谷祠春秋享祝文) 등이 수록되어 있고, 속집은 시 176수, 애사 4편, 화개현구장도(花開縣舊莊圖)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창만록>은 역대 인물들의 촌평이나 일화를 간단히 적은 것인데, 정순붕(鄭順朋)·남곤(南袞) 등 간인과 상진(尙震)·조광조(趙光祖) 등 명상, 구양수(歐陽脩)·호안국(胡安國) 등 중국학자까지 가려서 적은 기록이다. 그들의 학행(學行)·간계(姦計)·의기(義氣) 등에 대하여 언급하고 촌평을 가한 것이다.

제문 중 <제한강정구문 祭寒岡鄭逑文>은 정구의 학행을 높이 칭찬하며 자기와의 정리에서 국가의 장래까지 언급하고, 그의 죽음은 큰 손실을 가져왔다고 애도한 글이다. 이밖에도 방원진(房元震)의 일생을 전기화한 <만옹전 晩翁傳>과, 진사 신정과 학문을 의론한 <상신진사정서 上申進士晸書>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도서에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