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죽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병구의 시 · 서(序) · 기 · 잠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병구의 시 · 서(序) · 기 · 잠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5책. 필사본. 서(序)·발(跋)·부록 등이 없어 편집경위 및 연대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3책에 시 739수, 고시(古詩)·부(賦) 등 3편, 제4책에 서(序) 19편, 기(記) 8편, 발(跋) 6편, 김씨추원록(金氏追遠錄) 1편, 잠(箴) 13편, 설(說) 5편, 상량문 3편, 송신문(送神文) 등 2편, 표(表) 1편, 송여귀문(送厲鬼文) 등 2편, 찬(贊)·명(銘) 9편, 제5책에 제문 14편, 애사 9편, 유사·가장 등 5편, 묘지 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칠언이 율시분운(律詩分韻)과 절구분운(絶句分韻)이 각 유별로 배열되어 있고, 분운 외에도 율시와 절구가 오언·칠언으로 나누어 편집되었다.

장편고시(長篇古詩)에는 「백구몰운(百句沒韻)」·「삼륙동천(三六洞天)」 등이 있다. 설 가운데 「사칠설(四七說)」은 간명하면서도 주관이 뚜렷하다. 먼저 사단(四端)은 성(性)·이(理)이니 순선(純善)하고, 칠정(七情)은 심(心)·기(氣)이니 선(善)·불선(不善)이 병존한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주희(朱熹)·이이(李珥)·기대승(奇大升)·유계(兪棨)·이황(李滉) 등의 학설을 차례로 분석하여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이란 사단칠정과 동일한 어의라고 하였다.

또한 심성이기설(心性理氣說)에 대한 역대 제가의 학설에 잘못된 점을 대략 언급하고, 결론을 이황의 이발기수(理發氣隨)와 이이의 기발이승(氣發理乘)을 주리(主理)·주기(主氣)라고는 말할 수 있어도 이선(理先)·기선(氣先)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 본래의 뜻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이밖에도 「계자서(戒子書)」·「역대집론서(歷代輯論序)」등은 교육적 또는 학문적인 면에서 가치 있는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