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청정 및 종가 ()

목차
관련 정보
탁청정 종가
탁청정 종가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 있는 조선전기 광산김씨 예안파 김수 관련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동 탁청정(安東 濯淸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91년 08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군자리길 21 (오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 있는 조선전기 광산김씨 예안파 김수 관련 주택.
내용

197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541년(중종 36) 김수(金綏)가 건립한 제택(第宅)인데 몸채와 탁청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채는 총 22칸의 ㅁ자집으로 정침은 4칸이며 문간채는 6칸이어서 양쪽으로 각 1칸씩 돌출되어 전체의 칸수 구성이 정침 4칸, 양측면 각 5칸, 문간채 6칸으로, 4 · 5 · 6칸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기둥은 모두 모기둥이고, 도리는 납도리이며 대들보 위에 각주대공(角柱臺工)을 얹고 그 위에 모두 3량(三樑)을 얹은 간략한 구성을 하고 있다.

탁청정은 몸채에 딸린 정자로서 정면 3칸, 측면 2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누정 양식으로, 측면의 칸 사이를 정면보다 각각 60㎝씩 길게 잡아서 평면 전체가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인상을 주고 있다.

정면과 측면 마루에는 계자각난간(鷄子脚欄干)을 돌리고, 가구는 주심포계(柱心包系)의 2익공(二翼工) 받침에 외목도리를 짜올려 처마를 이중으로 하였다. 이 집은 원래 예안면 오천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수몰로 1974년 현위치로 이건되었다.

참고문헌

『경북문화재대관』(경상북도, 1980)
『문화유적총람』중(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