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군 ()

목차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강원도 서부 중앙에 있는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판교군은 북한의 강원도 서부 중앙에 있는 군이다. 면적 823㎢, 인구 4만7031명(2008년)이며, 1읍 22리로 구성되어 있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시 이천군의 일부와 평강군의 유진면이 통합되어 신설되었다. 중산성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군 전체 면적의 88%가 산림이다. 군의 중심부에는 임진강이 남북으로 흐르는데, 수량이 많아 수력발전과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전체 경작지 중 7%%가 밭이다. 주요 곡물은 옥수수·쌀·콩이고, 곡물총생산량에서 옥수수가 80% 이상을 차지한다.

목차
정의
북한의 강원도 서부 중앙에 있는 군.
내용

동쪽은 세포군, 서쪽은 황해북도 곡산군과 신계군, 남쪽은 이천군, 북쪽은 법동군 및 황해북도 신평군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6°40′∼127°12′, 북위 38°33′∼38°55′에 위치하며, 면적 823㎢, 인구 4만7031명(2008년)이다.

광복 당시에는 이천군에 속해 있었으나,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시 이천군의 방장면 · 판교면 · 용포면 · 산내면 · 낙양면과 평강군의 유진면이 통합되어 신설되었다. 1954년 10월에는 판교읍 일부와 사동리 일부가 분리 · 통합되어 천암리가 신설되었으며, 용당리 일부가 명덕리로, 명덕리 일부가 풍현리로 각각 편입되었다.

현재의 행정구역은 판교읍과 천암(川巖) · 사동(寺洞) · 하린원(下獜原) · 상린원(上獜原) · 금평(金坪) · 구당(龜塘) · 용지(龍池) · 이하(梨下) · 이상(梨上) · 경도(京都) · 풍현(楓峴) · 용천(龍川) · 명덕(明德) · 용포(龍浦) · 개련(開蓮) · 구봉(九峰) · 지하(支下) · 지상(支上) · 군한(君漢) · 용당(龍塘) · 용흥(龍興) · 상두(上頭) 등 22개 리로 되어 있다. 군소재지는 판교읍이다.

이 군은 중산성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군의 서부 경계에는 아호비령산맥(阿虎飛嶺山脈)이 뻗어있으며, 백년산(1,340m) · 선바위산(1,106m) · 명지덕산(909m)이 솟아 있고, 동부 경계에 뻗어있는 마식령산맥(馬息嶺山脈)에는 삿갓봉(1,309m) · 사태산(1,148m) · 양암산(1,124m) 등이 솟아 있다.

군의 중심부에는 고미탄천 · 용지리강 등 36개의 지류들과 합류한 임진강이 남북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전형적인 산악성 하천으로 수량이 많아 수력발전과 관개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기반암의 대부분은 편마암 · 편암 · 석회암 · 화강암이며, 지하에는 은 · 동 · 니켈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 · 충적토 · 논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는 연평균기온 8.7℃, 1월 평균기온 -6.1℃, 8월 평균기온 23℃이며, 첫서리는 10월 초순, 마감서리는 5월 중순에 내린다. 연평균강우량은 1,478㎜이다. 산림은 군 전체면적의 88%를 차지한다. 주로 소나무 · 참나무 · 박달나무 · 피나무 · 분지나무 등이 퍼져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농경지 중 논이 16%, 밭이 76%, 과일밭이 6%이다. 주요 곡물은 옥수수 · 쌀 · 콩이고, 곡물총생산량에서 옥수수가 80% 이상을 차지한다. 금평리 일대에서는 감자가 많이 생산된다.

채소로는 무 · 배추, 공예작물로 담배 · 박하 · 들깨 · 삼이 많이 재배된다. 초지자원을 이용하여 소 · 양 · 토끼 등의 초식가축이 사육되고 있으며, 야산에는 과일밭이 조성되어 사과 · 배 · 포도 · 살구 · 추리 · 밤 등이 생산되고 있다.

밀원자원이 풍부하여 도내에서 꿀 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양봉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 군은 중부지역에 있는 원목생산기지의 하나로, 광산용 갱목과 건축용재를 생산하는 용당임산사업소가 있다.

지방산업으로는 식료품 · 일용품 · 지물 · 의약품 · 직물 · 의류 · 농기구 등이 생산된다. 특히, 판교에서 나는 구렁이술(황룡술) · 오미자간장 · 구두약은 이 군의 특산물이고, 왕골돗자리 · 왕골주단 · 꽃병도 널리 알려져 있다.

교통망으로는 청년이천선(세포∼평산)이 군의 남쪽 경계를 지나며, 신계 · 원산 · 이천 · 철원 방면으로 통하는 도로가 나 있다. 임진강은 뗏목수송과 여객 · 화물수송로로 이용되고 있다.

세포군과의 경계에 있는 양암산은 기암 · 괴석과 계곡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산양 · 복작노루 등 야생동물들이 많아 동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이 산에서 발원하는 광천에는 부연(釜淵)이라는 큰 연못이 있다. 구당리에 있는 갈산온천은 예로부터 유명하며, 세종대왕이 행궁을 지어 이용하였다고도 전한다. 지금은 갈산요양소가 있다. 지하리에는 선사시대의 고인돌 100여 개가 모여 있는 지하리고인돌군(북한 사적)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판교고등중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가 있으며, 유치원 · 영화관 · 문화회관 · 도서관 등이 있다. → 이천군, 평강군

참고문헌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e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