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국어강습소 ()

목차
언어·문자
단체
1907년 주시경(周時經)이 국어 · 국문을 강습하여 자국사상(自國思想)을 장려할 목적으로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 안에 개설한 강습기관.
이칭
이칭
하기조선어강습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7년 주시경(周時經)이 국어 · 국문을 강습하여 자국사상(自國思想)을 장려할 목적으로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 안에 개설한 강습기관.
내용

1914년까지 서울 및 지방에서 6회에 걸쳐 강습을 실시하였다.

제1회 강습은 190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는데, 소장은 김명수(金命洙), 강사는 주시경이며 졸업생수는 25명이었다. 과정은 음학(音學)·자분학(字分學)·변체학(變體學)·격학(格學)·도해학(圖解學)·실험연습(實驗演習) 등 6개 과목이 개설되었으나, 3회 때부터 뒤의 두 과목이 빠져 4개 과목으로 줄어들었다.

제2회(1908) 때 강습소의 개칙(槪則)이 마련되고, 제3회(1909) 때 규칙 7조가 확정됨으로써 강습소의 체제가 완비되었다. 제4회(1910) 때는 강습장소를 박동(礴洞) 보성중학교(普成中學校)로 옮겨 실시하고, 황해도 재령군남호(藍湖, 속명 나무리)에 국어전수과를 특설하였다.

1910년 국권상실 이후 일시 중단되었다가 ‘하기조선어강습소’로 명칭을 바꾸어 제5회(1912)와 제6회(1914)를 지방에서 속개하였다. 졸업생들은 국어연구학회(國語硏究學會) 조직에 참여하는 등 국문보급과 국어연구에 앞장섰다. 대표적 인물은 정국채(鄭國采)·장지영(張志暎)·김원우(金元祐) 등이다.

참고문헌

『주시경연구(周時經硏究)』(김민수, 탑출판사, 1977)
「개화기(開化期)의 국어연구단체(國語硏究團體)와 국문보급활동(國文普及活動) -한글모죽보기를 중심으로-」(고영근, 『한국학보』30,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