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일성당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일성당 고택
안동 일성당 고택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후기 이웅의 후손인 이문한 관련 주택.
이칭
이칭
일성당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동 일성당 고택(安東 日省堂 古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01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산읍 중마길 11 (하리1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후기 이웅의 후손인 이문한 관련 주택.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고려 말 전농정(典農正)을 지낸 전의(全義) 이웅(李雄)은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풍산에 낙향하였으며 그의 후손이 하리리에 입향하였다고 전한다.

이 집은 이웅의 후손으로 숙종 때 사람인 이문한(李文漢)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 이름을 일성당(日省堂)이라 한 것은 외당(外堂)에 독서실을 배치하고 하루하루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현판을 달았기 때문이라 한다.

참나무 숲이 우거진 뒷동산을 배경으로 남동으로 좌향하였고, 앞마당 앞쪽 둑 밑에는 마당귀로 경사져 올라오는 길 옆으로 곡간수(谷間水)가 흐르고 있다. 비교적 높은 자연석 축대 위에 세워진 □자집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한몸을 이루었으며 안채부분은 정면 문간의 왼쪽에서 뒤채까지 ㄇ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의 중앙은 앞에 툇마루가 설치된 안방과 마루가 각각 1칸씩 차지하였는데, 이 2칸은 앞채의 3칸 크기에 맞먹는 큰 간살로 되어 있다.

안방의 왼쪽에는 뒤로 반 칸을 돌출시킨 골방이 1칸 모서리에 설치되었다. 그 앞에는 안방에 접하여 마당 쪽으로 2칸 반을 뽑은 긴 부엌이 고방에 닿았다. 고방은 앞채에 포함되어 있는 외양간에 이어졌다.

마루의 오른쪽에는 윗방을 2칸 설치하고 그 앞에 대문간을 두어 윗방 아궁이를 시설하였다. 사랑부분은 안채부분과 대각을 이루는 방향에 ⌟형으로 배치되었는데, 모서리에 놓인 양면이 개방된 사랑마루 1칸을 중심으로 왼쪽의 정면 쪽에 2칸 크기의 사랑방을 드렸고 마루 뒤쪽으로는 벽감이 달려 있는 마루방 1칸을 설치하였다.

안채의 기둥은 방주(方柱)를 사용하고 있으나, 정면의 중앙 기둥만은 모를 많이 죽여서 팔각으로 다듬었는데, 자귀질한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다. 기둥머리에서 들보를 받고 있는 보아지가 고졸(古拙)한 모양을 보이는 민도리집으로 5량가(五樑架)에 사다리꼴 판대공(板臺工)을 세워서 마루대를 올렸다.

이 집의 지붕은 □자형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맞배지붕으로 처리하지 않고 앞채는 모임지붕처럼 연결하였으며 뒤채의 중앙부는 합각지붕으로 꾸몄다. 이 집의 건축적 특징은 골방에서 안방부엌 위 다락으로 출입하게 한 것과 사랑마루 및 벽감 있는 마루방에 고미반자를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이 집의 독특한 특색이라기보다는 후대의 평면구조의 변형에 따른 결과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또한, 사랑채 부분에 많은 헌 재목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의혹을 불러일으킬 만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