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청주(淸州). 우정승 한악(韓渥)의 손자로, 도첨의사(都僉議事) 한대순(韓大淳)의 아들이다.
1365년(공민왕 14) 전리판서(典理判書)로서 고부(古賦)로 민안인(閔安仁) 등 55인, 십운시(十韻詩)로 임한(林翰) 등 41인을 뽑았으며, 1371년 경상도도순문사가 되었다. 1391년(공양왕 3)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거쳐, 이듬해 예문관대제학으로 찬성사 성석린(成石璘)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유배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조선 건국 후 1393년(태조 2) 태조로부터 전조대신(前朝大臣) 71인을 포상하라는 명에 의거,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어 원종공신전 15결과 노비 2명을 받았다. 1400년(정종 2) 권희(權禧) 등과 함께 판삼사사로 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