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가전(家傳)하는 바로는 조선 선조 때에 선전관을 역임하였고, 인조 때 영국원종일등공신(寧國原從一等功臣)으로 녹훈된 윤사성(尹思晟)이 세웠다고 전한다.
창건 때의 집터는 넓이가 600평이었고 명기(名基)의 산록에 의지하여 고설(高設)하였으며, 이른바 지기(地氣)의 윤덕을 입어 가업이 융성하여서 한때는 여덟 채나 되는 집이 들어차 있었고 그때의 규모는 무려 백 여 칸에 이르렀다고 한다.
지금은 그만 못하나 우람한 집이 자리 잡고 있다. 대문채는 5칸이며 가운데 칸이 솟을대문으로 열렸다. 반듯한 내정(內庭)이 있어 들어서면 왼쪽으로 산록에 자리 잡은 사랑채가 보인다.
마당보다 훨씬 높게 대(臺)를 모으고 ㄱ자형평면의 사랑채를 지었는데, 4칸 규모의 내루(內樓)가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내루의 남벽 · 동벽은 판벽(板壁)을 하고 문얼굴을 내고 그 인방 위로 교창(交窓)을 냈다. 그러나 지금은 문짝 · 창 등은 없어져 원상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서벽은 판벽 없이 개방되었다.
사랑채는 2칸의 방에 이어 주간(柱間)을 약간 좁힌 또 한 칸의 방이 있는데 배벽(背壁)을 판벽으로 막은 판상(板床)의 공간이다. 측벽과 전벽 역시 개방하였는데, 여기는 대청의 용도라기보다는 배벽에 감실(龕室)을 만든 정실(淨室)과 같은 쓰임을 위하여 구성되었던 듯하다. 사랑채 내루의 누하주(樓下柱)는 마당에 주초를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다. 또, 사랑채 지붕은 맞배이나 내루의 앞부분만은 합각을 세우고 팔작지붕으로 하였으며 홑처마에 기와를 이었다.
사랑채 내루에 이어 동쪽으로 중행랑채가 계속되고 거기에 중문이 있어 내정에 들어서게 된다. 안채는 행랑채보다 한 단 높아진 댓돌 위에 자리잡고 있다.
안마당 오른쪽에는 창고가 있으며 안채 왼쪽 뒤로 조금 떨어진 곳에는 가묘(家廟)가 따로 세워져 있다. 안채는 ㄴ자형 중 북변(北邊)이 중심이고 이 부분에 안방 2칸이 있어 부엌으로 이어지고 있다. 안채의 처마는 홑처마이며 지붕은 맞배가 ㄴ형으로 이어지고 기와를 이었다. 조선 전기 사대부 저택의 실례로서 주택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방 앞에 전퇴(前退)가 있어 대청에 이어지는데 방 다음 칸과 다음 칸, 그리고 ㄱ자로 꺾여 이어지는 부분까지가 대청이 되어서 6칸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대청에 이어 건넌방이 있는데 전퇴가 없는 1칸으로 다른 부분의 주간보다 넓고 전벽 중심에 큼직한 넉살무늬창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