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소유초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숙종 이후 고종 때까지 명인들의 소장(疏章)을 모아 엮은 소차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숙종 이후 고종 때까지 명인들의 소장(疏章)을 모아 엮은 소차집.
내용

11권 11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송면재(宋冕載)의 불식후진정세소(拂拭後陳情勢疏) 55편, 권2에 남공철(南公轍)의 사부제학신제소(辭副提學新際疏) 외 57편의 소장, 권3에 이만수(李晩秀)의 소장 외 49편의 소장, 권4에 박장원(朴長遠)·김만중(金萬重)·최석정(崔錫鼎)의 소장 외 39편의 소장, 권5에 오재순(吳載純)·김재찬(金載瓚)·김수항(金壽恒)의 소장 외 56편의 소장, 권6에 김만중·남공철의 소장 외 47편의 소장, 권7에 이존수(李存秀)·정원용(鄭元容)의 소장외 82편의 소장, 권8에 김수항·최석정의 소장 외 44편의 소장, 권9에 김창협(金昌協)·김만중의 소장 외 46편의 소장, 권10에 박태보(朴泰輔)·김재찬의 소장 외 44편의 소장, 권11에 한용구(韓龍龜)의 소장 외 34편의 소장이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