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장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통교무역자(通交貿易者)의 입국증명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통교무역자(通交貿易者)의 입국증명서.
내용

본래 중국의 외이기미책(外夷羈縻策)에서 유래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문인(文引)·노인(路引)이라 하였고, 행장은 조선에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고려 중기부터 여진인(女眞人)을 회유하기 위하여 사용되었고, 조선 건국 후에는 태조 때부터 동북면과 서북면에서 월경(越境)·밀매하는 자와 승려로서 몰래 월경하는 자를 단속하기 위하여 이를 만들어주었다. 태종 때에는 제주도에 출입하는 상인에게 거주지의 관청에서 이를 만들어주었다.

1407년(태종 7)부터는 내왕하는 왜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용(轉用) 실시되었다. 즉, 일본에 거주하는 수령(首領 : 對馬島·壹岐·九州 등지의 大名)이 흥리왜선(興利倭船 : 商船)에 대하여 발급한 일종의 입국증명서·도항증명서(渡航證明書)로, 조선에서는 이 행장의 유무를 검찰하여 확인한 다음 입국을 허가하였다. 행장지급제도가 실시되면서 동시에 무역방법에도 제한을 가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조선초기대일교섭사연구』(이현종, 한국연구원, 1964)
『日鮮關係史の硏究』(中村榮孝, 吉川弘文館, 1965∼1969)
집필자
손홍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