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산군 ()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자강도 서부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의 자강도 서부에 위치한 군.
개설

향산군은 동쪽으로 평안남도 영원군, 서쪽으로 운산군, 남쪽으로 구장군, 북쪽으로 자강도 희천시와 접해 있다. 면적은 250㎢로서 도 면적의 2%를 차지한다. 인구는 5만 6,421명(2008년)이다. 군소재지는 향산읍이며, 청천강을 낀 묘향산 서사면의 끝자락에 위치한다.

명칭 유래

‘묘향산(妙香山)을 끼고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향산군(香山郡)이라고 명명하였다. 본래 묘향산은 예로부터 백두산 · 금강산 · 지리산 · 구월산과 함께 5대 명산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조선지리전서』에는 ‘묘향산은 산세가 기묘하고 수려하며 경치가 아름다워 세상에 널리 알려져 왔다’라는 내용이 있고, 『여지도서』에 소개된 이색(李穡, 1328∼1396)의 글에는 ‘향산은 웅장함이 다른 산에 비길 데 없으며, 향나무와 사철나무가 많다’라는 내용이 있다. 이처럼 묘향산(妙香山) 지명은 ‘아름답고 기묘한 산의 모습과 향기 그윽한 향나무 수목환경에서’ 비롯하였다.

자연환경

동부지역에는 묘향산줄기가 청천강을 향하여 뻗어 있고, 비로봉(1,909m) · 원만봉(1,795m) · 향로봉(1,599m) · 오선봉(1,365m) · 법왕봉(1,388m) · 칼봉(1,530m) · 형제봉(1,230m) 등이 솟아 있다. 북서부에는 피난덕산줄기가 청천강을 향하여 뻗어 있고, 삿갓봉(992m) · 운대산(836m) · 말기봉(546m) 등이 솟아 있다.

지형은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다. 큰 골짜기는 남서방향으로 열려 있다. 이 골짜기를 따라 북쪽의 희천시에서 흘러든 청천강이 묘향산줄기와 피난덕산줄기 사이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른다. 동부의 묘향산줄기에서 발원한 묘향천과 서부의 산지에서 발원한 각대봉강 · 조산천 · 묘향천 · 석창천 등의 지류하천이 이 청천강으로 흘러든다. 지대가 높고 산지가 지배적인 지역이기 때문에 충적평탄지는 하천의 연안을 따라 소규모로 나타날 뿐이다.

기반암은 화암강, 흑운모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갈색삼림토양이, 묘향산 일대의 높은 산봉우리에는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하천 기슭에는 충적토양이 분포하고 있다. 묘향산 일대는 동식물 자원이 풍부하여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청천강 동부의 지류하천에는 묘향산약수, 어비약수, 조산약수 등이 있다.

연평균기온은 9.0℃, 1월 평균기온은 –8.5℃, 8월 평균기온은 23.5℃이다. 연강수량은 1,178㎜로 다우지역에 속한다. 서해를 향해 열려 있는 청천강 골짜기를 따라 바람이 불고, 또한 높은 지대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영변군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영변군 태평면 · 북신현면 · 남송면(11개리)을 분리, 통합하여 향산군을 신설하였다. 1984년 향산읍, 북신현리, 임흥리, 향암리를 통합쳐 묘향산구를 신설하였다. 1985년 묘향산구는 향산군에 편제되면서 폐지되었다. 향산군의 구두리, 상서리, 운봉리, 입석리, 조산리, 하서리는 운산군에, 가좌리, 노현리, 불무리, 상로리, 석창리, 수양리, 용성리, 천수리는 구장군에 이관되었다. 1989년 운산군의 구두리, 상서리, 하서리는 다시 향산군에 귀속되었으며, 1996년 운산군의 운봉리, 입석리, 조산리와 구장군의 가좌리, 노현리, 상로리, 석창리, 수양리, 용성리, 천수리, 청송리는 다시 향산군에 귀속되었다. 본래 평안북도 소속이었으나 2023년 2월 10일 조선중앙텔레비죤 날씨보도에서 자강도로 이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행정구역은 1읍(향산읍), 20리(가좌리, 관하리, 구두리, 노현리, 북신현리, 상로리, 상서리, 석창리, 수양리, 신화리, 용성리, 임흥리, 입석리, 운봉리, 조산리, 천수리, 청송리, 태평리, 하서리, 향암리)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경제는 공업과 농업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업은 묘향산의료기구공장에서 생산되는 구강종합치료기, 이비인후종합치료기, 안과치료기, 위내시경 등의 의료기구가 전국에 알려져 있다. 향산종합식료공장에서는 이 지역의 박달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을 이용하여 만든 독특한 맛을 내는 조미료가 생산되고 있다.

농경지는 군 면적의 12%에 지나지 않는데, 그중에서도 밭이 75% 이상을 차지한다. 주로 벼 · 옥수수 · 콩을 비롯한 곡물류가 생산되고, 보리 · 수수 · 메밀 · 고구마 · 감자 등도 재배된다. 과수에서는 배 · 사과가 재배되고, 축산에서는 소 · 돼지 · 양 · 닭 등이 사육된다.

교통망으로는 만포선(순천∼만포)이 청천강과 나란한 방향으로 부설되어 있고, 신현리의 만포선에서 분기한 운장선이 강대봉강 골짜기를 따라 북서방향으로 지난다. 도로망으로는 평양∼희천고속국도가 지난다. 도소재지인 신의주까지는 약 170㎞이다.

문화기관으로는 국제친선전람관, 묘향산역사박물관을 비롯한 10여 개가 있다. 유물은 보현사와 관련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수도 매우 많다. 북한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급으로는 보현사, 상원암, 보현사축성전, 불영대, 영산전, 보현사8각13층탑, 보현사비, 수충사가 있고, 보존급으로는 계조암, 화장암, 금강암, 능인암, 하비로암, 안신사부도군, 서산대사비, 해장원, 보윤암 등이 있다. 보현사는 고려시대인 1042년에 창건된 이후 여러 차례 고쳐지었다. 이 사찰은 아름다운 경치와 뛰어난 건축술, 임진왜란 때 이름을 떨쳤던 서산대사의 사적이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조선지리전서(朝鮮地理全書)』
『1:50,000 조선지형도』
『1:250,000 대한민국 지세도』(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2008년 북한 인구센서스의 분석과 문제점』(이 석, 한국개발연구, 2011)
『국역여지도서(國譯輿地圖書) 평안도 Ⅱ』19(이철성 역주, 디자인흐름, 2009)
『광명대백과 -조선의 지리』8(조선백과사전편찬위원회·지리부문편찬위원회 편찬, 백과사전출판사, 2009)
『조선향토대백과』6(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평화문제연구소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