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자귀 ()

선사문화
유물
자루가 날부분과 직각이 되게 이루어졌으며, 부신(斧身) 한 쪽에 끈을 묶기 위한 홈을 파놓은 자귀.
이칭
이칭
유구석부(有溝石斧)
목차
정의
자루가 날부분과 직각이 되게 이루어졌으며, 부신(斧身) 한 쪽에 끈을 묶기 위한 홈을 파놓은 자귀.
내용

‘유구석부(有溝石斧)’라고도 한다. 목재를 가공하는데 주로 쓰였다. 청동기시대 중기인 서기전 7세기경에 나타나 철기시대인 서기전후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사용되었다.

중국의 농경문화와 함께 전래되었으며, 그 원형은 중국 화남지방의 유단석부(有段石斧)에서 찾을 수 있다. 유단석부는 부신 한 쪽에 단을 만들어서 끈을 묶어 사용한 반면, 홈자귀는 단대신 홈에다 끈을 묶어 사용하였다. 이 홈은 우리나라에서 고안해 낸 것으로 서기전 3세기경 벼농사와 함께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서기전 7세기경 우리나라 중서부지방에서 나타난 홈자귀는 서기전 5세기를 전후해 형식의 변화를 일으킨다. 서남해안지방에서는 배를 만드는데 쓰였던 것으로 보이는 장대형(長大形)의 홈자귀도 나타나고 있다.

홈자귀의 용도에 대해서는 땅을 파는데 쓰는 굴지구(掘地具) 등의 다목적 도구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중국의 유단석부처럼 목공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특징의 하나는 마제석기의 활용이다.

의의와 평가

석검·석촉·석도뿐만 아니라 석부도 용도에 따라 크기와 무게가 다른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다. 그 중 홈자귀는 우선 요즈음의 도끼처럼 좌우가 대칭으로 생긴 마제석부로 벌채, 절단한 나무를 사용해 여러 가지 기구와 시설물을 성형하는데 쓰였던 일종의 가공구(加工具)로 추정된다.

농경을 위주로 하는 정착생활은 자연히 취락규모의 증대를 가져왔고, 그 결과 각종 시설물의 건설이 늘어나 목제가공구가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요즈음의 도끼와 자귀가 세트(set)로 사용되듯이 청동기시대에도 석부와 자귀가 함께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홈자귀는 청동제도끼가 출현한 뒤에도 변동 없이 상용되었다. 그러나 서기전후에 중국제 철부가 들어옴으로써 다른 석기들과 같이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설(韓國考古學槪說)』(김원룡, 일지사, 1973)
「유구석부(有溝石斧)의 성격고찰(性格考察)」(노혁진, 『논문집(論文集)』1, 한림대학, 1983)
「유구석부(有溝石斧)에 대한 일고찰(一考察)」(노혁진, 『역사학보(歷史學報)』89, 1981)
집필자
노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