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귀달 선생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홍귀달 선생 신도비
홍귀달 선생 신도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홍귀달의 신도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홍귀달선생신도비(洪貴達先生神道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북 문경시 영순면 영풍로 848-5 (율곡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홍귀달의 신도비.
내용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홍귀달은 세조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고 춘추관 편수관(編修官)으로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史禍) 때 10여건에 달하는 왕의 난정을 간하다가 좌천되었고, 1504년(연산군 10)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된 문신이다.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복관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숙종 때 문광(文匡)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이 비는 1534년(중종 29)에 건립되었는데, 홍문관 대제학 남곤(南袞)이 찬하고, 아들 언국(彦國)이 글을 썼다.

비문은 판독이 어려우나 부림홍씨(缶林洪氏) 세덕록(世德錄)에 그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 근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비각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비는 전체 높이가 374㎝로서, 귀부 · 비신 · 이수의 3부분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귀부와 이수의 조각이 매우 뛰어나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도록(慶尙北道文化財圖錄)』(동해문화사, 199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