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공도 ()

목차
단체
고려 때 사학(私學)인 12도(十二徒)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때 사학(私學)인 12도(十二徒)의 하나.
내용

문종 때 정배걸(鄭倍傑)에 의하여 개성 남문 밖에 설립되었다. 일명 웅천도(熊川徒)라고도 한다.

정배걸은 1047(문종 1)에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었는데 일찍부터 자제들의 교육에 관심을 가져오던 중, 최충(崔冲)이 문헌공도(文獻公徒)를 설립한 뒤 남문 밖에 사숙(私塾)을 개설하여 교육에 전념하였다.

그가 죽은 뒤 국가로부터 홍문광학추성찬화공신(弘文廣學推誠贊化功臣)과 개부의동삼사수태위문하시중상주국광유후(開府儀同三司守太尉門下侍中上柱國光儒侯)에 추증되었다. 이로써 그의 문도(門徒)들은 이후 홍문공도로 불리게 되었다.

무인집권기인 1205년(희종 1)에는 홍문공도로서 과거에 급제한 임득후(林得候)가 자기 문도의 선성당(宣聖堂)을 팔아먹었다는 죄로 벌을 받는 내용이 보이는 것으로 볼 때, 당시에도 홍문공도는 크게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1391년(공양왕 3) 사학교육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12공도와 함께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국자감과 사학」(박성봉, 『한국사』6, 국사편찬위원회, 1975)
「고려시대의 유학발달과 사학십이도의 공적」(박성봉, 『사총』2, 1957)
「고려시대교육제도에 대한 일고찰」(김정옥, 『이화여대칠십주년기념논문집』,1956)
「麗末鮮初の私學」(柳洪烈, 『靑丘學叢』24, 193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