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8m. 1979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마을 뒤편의 용봉산(龍鳳山)의 서쪽 기슭에 세워져 있는 지상 8m에 이르는 거불이다.
절벽 아래 수직으로 솟구친 거대한 자연 암석을 깎아 조성한 장대한 규모에서 불(佛)의 위용을 한껏 과시하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차츰 넓어지는 원통형으로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 편평한 정상부가 특징적이다.
이마가 다소 좁아 보이나 깊게 파인 활 모양의 양 눈썹이 시원스러우며 도톰한 눈두덩 아래로 반타원형의 눈을 가늘게 내리뜨고 있다. 미간에서 뻗어 내린 코가 우뚝하며 입술은 두툼하면서도 매끄럽다.
입가에는 슬며시 미소가 어려 있다. 양 뺨은 살이 많이 올라 불룩할 정도이며 어깨까지 늘어진 귀가 묵중하다. 원만한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에 정돈된 각선(刻線)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보아 균형이 잡히지 않은 다소 불완전한 안면 표현을 보여 준다.
자연 암석의 조건을 그대로 활용한 장대한 신부(身部)는 보는 이를 압도한다. 목이 거의 없이 얼굴과 각진 어깨는 맞닿아 있다. 착의 형식은 통견(通肩 : 대의가 양쪽 어깨를 모두 덮은 착의법)으로 신체와 상당 부분 합치된 간략한 옷주름 선을 보여 준다.
얇은 옷자락은 어깨에서부터 양팔을 감아 전면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배 부위에 가만히 대었고 왼손은 내려뜨리고 있는데 기름한 손가락 끝을 가지런히 모아 붙이고 있다.
불상의 하단부는 지면에 묻히면서 자연스레 생략되었고 배면에도 조각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후덕하면서도 고졸(古拙 :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한 멋이 있음)한 지방색이 감도는 존용(尊容)과 간략화된 조각 기법으로 보아 고려 중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