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의창(義昌). 아버지는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회산군(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이다.
충혜왕 때 호군(護軍)이 되었으며, 공민왕 초에 밀직부사에 제수되고 추충익찬공신(推忠翊贊功臣)에 봉해졌다.
1354년(공민왕 3) 원(元)에서 이부낭중(吏部郞中) 카라노카이[哈剌那海] 등을 보내 장사성(張士誠) 토벌을 위한 원정군 파견을 요구하니 유탁(柳濯)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원나라에 가서 장사성(張士誠)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돌아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가 되었다. 1356년 적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는 데 가담해 그 공으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가 되었다. 1358년에는 추밀원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로서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병란(兵亂)이 사방에서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개와 매를 기른다는 왕의 꾸지람을 받았다. 1359년 채하중(蔡河中)의 옥사에 연루되어 귀양간 판밀직(判密直) 신귀(辛貴)의 처와 간통해 어사대의 탄핵을 받았으나 그 동안의 공적으로 면직됨에 그쳤다.
1361년 11월 홍건적의 침공으로 왕이 복주(福州: 安東)로 파천하게 되자 왕을 호종한 뒤 교주강릉도도만호(交州江陵道都萬戶)가 되어 종군하였다.
1362년 1월 개경에 둔치고 있는 홍건적을 총병관(摠兵官) 정세운(鄭世雲)의 휘하에서 안우(安祐)·이방실(李芳實) 등과 더불어 20만 대병으로 포위 공격해 적을 대파하고 개경(開京)을 수복하였다. 2월에는 평장사 이공수(李公遂)와 함께 참정(參政)으로서 개경의 수성(守城) 책임을 맡았다.
이러한 공으로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수복경성공신(收復京城功臣) 1등에 각각 포록(褒錄)되고, 참지문하정사(參知門下政事)에 승진해 추충분의익찬공신(推忠奮義翊贊功臣)에 책봉되었다. 이어 찬성사에 올랐으며 사직한 뒤 회성부원군(檜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홍건적을 토벌한 공으로 원나라로부터 봉훈대부(奉訓大夫)의 산계와 경정감승(經正監丞)의 관직을 받았다. 다시 찬성사가 되어 추충분의보리익찬공신(推忠奮義輔理翊贊功臣)에 봉해졌다.
1364년 심왕당(瀋王黨) 최유(崔濡)가 덕흥군 왕혜(德興君 王譓)를 왕으로 추대하고 원병(元兵) 1만명으로 서북면에 침공하였다. 또한 이 혼란에 편승해 동북면에서는 삼선(三善)·삼개(三介)가 공략해와서 화주(和州) 이북을 함락하였다. 이에 동북면도순토사(東北面都巡討使)가 되어 이성계와 더불어 최유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1371년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올랐으며, 우왕 때는 왜구토벌에 여러 번 종군해 공을 세웠다. 1381년(우왕 7) 3월 왜구가 개경을 위협하자, 서강도원수(西江都元帥)로 동강도원수 나세(羅世)와 함께 연안 15개처에 군대를 주둔시켜 방비를 하였다.
아버지의 기일(忌日)에 원씨(元氏)에게 장가를 들고, 원씨 역시 세가(世家)의 딸로서 남편의 상기(喪期)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시집을 왔으므로 헌사(憲司)의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우왕의 특별 배려로 무사했고, 처 원씨만 유배되었다.
무예에 능하고 용맹이 있어서 역대 왕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궁술이 뛰어나 원나라 순제(順帝)의 부름을 받아 시범을 보이기도 하였다. 시호는 공정(恭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