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창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진사, 성균관학록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실지(實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장수(長水)
주요 관직
진사|성균관학록(成均館學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진사, 성균관학록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실지(實之). 영의정부사 황희(黃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황수신(黃守身)이고, 아버지는 황신(黃眘)이며, 어머니는 강석덕(姜碩德)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1485년(성종 16)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유생(儒生) 10인과 함께 『서전(書傳)』을 강(講)하였다. 1487년 성균관생원(成均館生員)으로 거애(擧哀)와 성복(成服)의 정지에 대해 상소하였다.

1489년 관시(館試)에 응시하였는데 시관(試官)과 상피(相避)됨으로써 옮겨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서 모두 초장(初場)의 강경(講經)에 합격하였다. 진사로서 1491년 주2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92년 성균관학록(成均館學錄)으로 회간대왕(懷簡大王)의 수찰(手札)을 올렸다.

1498년에는 사헌부 주3, 1504년에는 사헌부 주4 1513년에는 주5 1513년에는 주6가 되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지평 임명 : 『연산군일기』 31권, 1498년(연산 4) 9월 14일. "변종인·신준·성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주4

집의 임명 : 『연산군일기』 52권, 1504년(연산 10) 3월 13일. "성세명·장순손·홍자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주5

판결사 임명 : 『중종실록』 18권, 1513년(중종 8) 3월 13일. "이사균·김극핍·김근사·조원기·이자화·이항·박소영·황성창·홍경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주6

병조참지 임명 : 『중종실록』 18권, 1513년(중종 8) 6월 27일. "김응기·신용개·유담년·심정·유미·성세정·서극철·김휘·황성창·이인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주7

대사간 임명 : 『중종실록』 25권, 1516년(중종 11) 6월 14일. "송천희·민상안·심정·이장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