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적의 존재는 이미 일제강점기 때부터 알려져 왔으나 정식발굴은 1954년에 처음으로 시작되었고 1955년에 2차 발굴이 실시되었다. 약 70여 일 동안에 400㎡ 범위로 실시된 두 차례의 발굴 결과, 6기의 집터[住居址]와 작업장이 발견되었고, 유물은 토기 · 석기 · 골각기 · 인골(人骨) 등 5,000여 점이 출토되었다.
집터는 모두 장방형이며, 내부시설로는 기둥구멍[柱孔]과 화덕자리(爐址) · 석기제작장이 확인되었다. 벽재(壁材)로 쓰인 갈대와 싸리나무로 엮은 진흙덩이가 발견되었다. 집터의 크기는 확인된 것의 경우, 5.8m×4.1m, 5.2m×4.5m, 9.6m×4.5m, 8.4m×6.5m이다.
출토유물은 흑요석기(黑曜石器) · 돌도끼[石斧] · 돌끌[石鑿] · 공이[敲石] · 반달돌칼[半月石刀] · 돌 가락바퀴[石製紡錘車] · 숫돌[砥石] · 골검(骨劍) · 뼈살촉[骨鏃] · 골제시문구(骨製施文具) · 뿔괭이 · 치아제장식품(齒牙制裝飾品) 등의 석기 · 골각기와 다량의 토기류이다.
특히, 토기는 갈색토기 · 갈색간토기[褐色磨硏土器] · 붉은 간토기 · 검은간토기 · 젖꼭지손잡이토기[乳頭把手土器] 등 다양하다. 갈색간토기→붉은간토기→검은간토기→젖꼭지손잡이토기의 순서로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이 밖에 주거지 안에서 불에 탄 사지골(四肢骨) · 지골(指骨) · 치아 등의 인골이 발견되었다. 또한 표토층에서는 주조한 투겁도끼[鑄造銎斧]가 채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