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해천자문 ()

주해천자문
주해천자문
언어·문자
문헌
개원사에서 홍성원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1752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주해천자문』은 개원사에서 홍성원의 글씨를 판하로 하여 1752년에 간행한 교재이다. 목판본으로 불분권 1책이다. 4글자씩 125행으로 각 행 사이에 작은 행을 하나 더 만들어 어구의 주해를 기록하였다. 각 글자의 음훈을 2-3개까지 달아 한자의 의미를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석봉천자문』과 일치한다. 현재 1804년 간행된 중간본과 함께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1973년 『동양학총서』로 영인되었다. 이 책은 국가에서 간행된 것이 아닌데도 규범적이고 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정의
개원사에서 홍성원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1752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본.
개설

『천자문』의 각 글자에 새김과 음을 달고 주해를 덧붙인 한자교본이다. 각 한자에 대해 석(釋)과 음(音)을 한 가지씩만 달았던 종래의 『천자문』과 달리 한자 1자에 대해 2∼3개의 석과 음을 달고 간략한 주석과 함께 250구 매구를 한문으로 풀이한 통해(通解)가 있다.

편찬/발간 경위

홍성원(洪聖源)은 기존의 『천자문』으로는 한문의 뜻풀이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잘못된 것들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매 한자가 갖는 다수의 뜻풀이를 기존 『천자문』에 반영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주해천자문』를 펴내 한자의 의미를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기존 『천자문』의 잘못된 부분을 일일이 수정하였다.

서지적 사항

목판본. 불분권 1책. 한 행(行)에 4글자씩 125행으로 되어 있다. 각 행 사이에 줄을 그어 작은 행을 하나 더 만들고 각 어구에 대한 주해(註解)를 기록하였으며‚ 글자 하나하나에도 음훈을 2∼3개까지 달아 놓았다.

권말(卷末)의 간기(刊記)는 “숭정백이십오년임신주해우귀계정사 상호군남양홍성원서 남한개원사(崇禎百二十五年壬申註解于龜谿精舍 上護軍南陽洪聖源書 南漢開元寺)”로 되어 있어‚ 홍성원이 1752년에 귀계정사(龜谿精舍)에서 이 책을 주해한 것을 알 수 있다.

서울 광통방(廣通坊)에서 홍태운(洪泰運)의 글씨를 판하로 하여 1804년에 간행된 중간본(重刊本)과 함께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규장각 소장 「일사 고 418.3-J936」과 같은 판본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석봉천자문』과 함께 1973년 『동양학총서』로 영인된 바 있다.

내용

『주해천자문』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석봉천자문』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석봉천자문』과 『주해천자문』의 석(釋)이 동일하지 않은 항목이 72개인데 유의 관계에 있는 것이 54항목이며 그렇지 않은 것이 18항목이다.

유의 관계에 있는 항목들에서 『석봉천자문』의 석에 비해 『주해천자문』의 석이 표제 한자의 의미를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어휘로 바뀌었다.

구체적으로 『석봉천자문』의 ‘鵾 새 곤, 遼 멀 료’가 ‘鯤 큰고기 곤, 僚 동관 료’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수정은 통해에서 속본의 잘못을 고친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자음의 표기에서도 『석봉천자문』과 일치를 많이 보인다.

또한, 『삼운성휘(三韻聲彙』, 『전운옥편(全韻玉篇)』과 일치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예컨대 ‘取’의 한자음이 ‘츄’로 나타나는 것 등은 『삼운성휘』와 일치한다. 그리고 정음과 속음을 다 밝히는 경우에는 『전운옥편』과 일치한다.

한자음에 있어서 구개음화 현상이 반영된 예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석봉천자문』과 일치하는 석이 많지만 복수의 석 중에는 『석봉천자문』보다 근대적 성격을 드러내는 석을 많이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4언고시 250구로 된 『천자문』은 기초 실용 한자의 한계를 넘어 고대 중국의 고사, 국명, 인명, 지명, 윤리, 물리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갖가지 이본이 존재하지만, 그 가치를 잃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천자문』은 단순한 기초 문자 교육에만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4자 1구를 하나하나 학습하고 체계적으로 익힘으로써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언행을 교육하는 데도 목적이 있었다.

특히『주해천자문』은 『삼운성휘』, 『전운옥편』과 한자음이 일치를 보인다는 점, 『석봉천자문』을 포함한 종래의 속본(俗本)을 수정한다는 구절이 있다는 점, 책 크기를 줄여 간행하는 보통의 방각본들과 달리 『석봉천자문』과 같이 책 크기가 큰 점 등이 큰 특색이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 보아서 국가에서 간행된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규범적이고 공적인 성격을 지녔던 한자교본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규장각소장어문학자료 어학편 해설』(서울대학교규장각, 2007)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근대편Ⅰ-』(홍윤표, 태학사, 1993)
「『주해 천자문』의 단수자석과 문맥지석의 반영에 관하여」(박병철,『구결연구』17, 200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