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석불좌상은 망월사 미륵전 향좌측 벽면에 봉안되어 있는데, 왼손에 보주를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상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형태와 대의 처리 등에서 고려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불좌상은 두께가 32㎝ 되는 육중한 화강암의 주형광배에 양각으로 조각된 여래상이다. 현재 시멘트로 된 폭 110㎝, 높이 11㎝의 장방형 대좌 위에 안치되어 있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사발처럼 솟아있고, 얼굴은 방형에 이목구비를 표현하였으나 코는 인위적으로 깎아낸 듯하다. 법의는 통견으로, 양 어깨를 덮은 옷 주름이 섬세하지 못하고 듬성듬성하게 묘사되었다. 수인에서 오른손은 우측 무릎 가장자리에 대고, 왼손은 가슴 위로 올려 약합으로 보이는 지물을 취한 모습을 하고 있다. 결가부좌한 자세를 취하고, 무릎을 덮은 군의자락이 간략화되었다. 무릎 밑으로 대좌가 이어지는데, 앙 · 복련의 조식이 보이나 중앙에서는 마모되어 연화문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머리의 주변을 자세히 보면 광배 표면에 화염문이 희미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 불상은 상호에서 나타나는 이목구비의 불균형, 양 어깨의 경직성, 팔과 무릎에서 표출되고 있는 사실성의 결여 등에서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좌상은 주형거신광을 갖추었으며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불상으로서는 흔치 않은 예에 속하는 작품으로, 고려 말 이 지역 일대의 약사여래신앙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 학술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