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포 자연공원 ( )

목차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황해남도 과일군 용학리에 있는 자연공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황해남도 과일군 용학리에 있는 자연공원.
내용

과일군의 지형은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서해에 면해 있는 용학리에서는 더 낮아져 전체 면적의 63%를 농경지가 차지할 정도로 전반적으로 평탄한 해안평야를 이룬다. 포구에는 조선시대에 봉화를 올리던 작은 산(21m)이 있다. 이 산에서부터 해안선은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육지 쪽으로 완만하게 들어왔다가 다시 북동쪽으로 길게 뻗어 무인도인 접도(蝶島) 가까운 곳까지 반도를 이루고 있다. 이 해안에서 내륙으로 쑥 들어온 곳이 바로 용수포이다. 용수포(龍首浦)라는 지명은 포구에 있는 용의 머리처럼 생긴 바위에서 유래했으며, 이 바위가 있는 마을을 용수동(龍首洞)이라 부른다. 용수포자연공원은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발달한 모래사장과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진 해수욕장을 가리킨다. 용수포 해안의 바닷물은 맑고 경사는 완만하며 수온이 적당하여 해수욕장으로 이용하기 알맞다고 한다. 더욱이 이 일대는 예부터 소나무가 많았다. 송곡리ㆍ솔비동ㆍ송현동ㆍ송곡동 등의 마을 이름은 모두 소나무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이곳 해수욕장은 바닷가의 늘 푸른 소나무와 해당화가 주위의 넓은 백사장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용수포해수욕장에는 인근의 주민들은 물론 멀리 평양 사람들까지도 많이 찾는다고 한다.

참고문헌

『광명백과사전』(리영실, 백과사전출판사, 2009)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