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음도서 ()

개념
독서장애인을 위하여 도서내용을 녹음하여 제공하는 형태의 대체자료. 음성도서.
이칭
이칭
음성도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독서장애인을 위하여 도서내용을 녹음하여 제공하는 형태의 대체자료. 음성도서.
개설

일반 문자를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나 책장을 넘기기 어려운 신체장애인 및 침대에서 일어나기 어려운 사람 등 독서장애인을 위해 낭독자(성우 또는 TTS프로그램)가 자료를 낭독하여 레코드나 테이프, 시디(CD), 엠피쓰리(MP3) 등에 녹음한 도서를 말하는데,활자로 되어 있는 일반도서와 달리 낭독자가 녹음하여 제작하는 대체자료의 한 형태이다.

연원 및 변천

녹음도서의 개발은 토마스 에디슨이 1876년에 저장된 소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축음기를 발명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34년에 축음기를 활용한 토킹북(Talking Book)이 개발되어 사용되었고, 1959년대 말부터는 릴테이프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말부터 개발되어 사용된 카세트테이프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시디와 엠피쓰리와 같은 디지털 녹음도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

녹음도서는 테이프(TAPE) 녹음도서, 오디오 시디(Audio CD)도서, 엠피쓰리 시디(MP3 CD)도서 등으로 구분된다.

테이프 녹음도서는 도서의 내용을 카세트테이프에 낭독자가 녹음하여 만든 대표적인 아날로그 녹음도서이다.

오디오 시디도서는 낭독자(성우)가 직접 낭독하거나 TTS(Text-To-Speech, 문자-음성전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낭독한 도서의 내용을 디지털파일 형태로 시디에 저장한 도서이다. 낭독한 도서의 원음을 압축하지 않고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데이터의 손실 없이 웨이브(wave)파일 그대로 저장하기 때문에 음질이 뛰어나지만, 엠피쓰리에 비해 보통 10배 이상의 파일 크기 때문에 유아용 도서와 같이 내용이 적은 도서에 적합하다.

엠피쓰리 시디도서는 일반 오디오 시디 수준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오디오 시디에 비해 50배 더 많은 분량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녹음도서이다. 시디에 저장하거나 파일로도 서비스되고 있어 엠피쓰리 플레이어, 퍼스털 컴퓨터(PC) 이외에 휴대용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들을 수 있다. 서비스방식에 따라 일반 엠피쓰리 녹음도서와 에이알에스(ARS) 전화도서로 구분된다.

엠피쓰리 녹음도서는 낭독자가 낭독한 도서내용을 엠피쓰리 파일로 저장된 디지털 녹음도서이다. 에이알에스 전화도서는 일반도서 및 신문(일간지 등) 등의 내용을 낭독자가 낭독하거나 화면낭독프로그램(TTS)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된 소리파일(MP3)을 전화를 활용한 에이알에스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제작한 녹음도서이다.

현황

우리나라에서 초창기에 제작한 녹음도서는 카세트 테이프를 활용한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시디나 엠피쓰리 방식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녹음도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은 서울 지역의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점자도서관을 비롯해서 전국적으로 40여 곳이 있다. 에이알에스 전화도서 서비스기관으로는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전화도서관과 종달새전화도서관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녹음도서는 시각장애인들과 같이 일반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독서장애인들에게 독서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점자의 해독 유무와 상관없이 시각장애인들의 독서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대체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 시각장애인의 역사』(임안수,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10)
『한국맹인근대사』(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2004)
「국내 점자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대체자료 활용실태 연구」(오영옥, 가돌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한국의 점자도서관 발전사 연구」(육근해,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시각장애자 도서관 운영에 관한 연구」(정영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한국점자도서관(www.infor.kbll.or.kr/info/replace.php)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