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식 창가 ( )

국악
개념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한국에서 불린 서양의 노래 또는 서양식으로 만들어지고 불린 노래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창가 · 신식노래.
이칭
이칭
창가, 신식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한국에서 불린 서양의 노래 또는 서양식으로 만들어지고 불린 노래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창가 · 신식노래.
개설

‘창가’와 ‘신식 노래’는 유의어 또는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창가는 시(詩)와 선율이 결합된 형태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가사만을 가지고 ‘창가’라 하기도 하였다. 또한 ‘창가’란 신식노래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굳이 창가 앞에 ‘신식’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이유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관점에서 신식 노래인 서양의 노래 또는 서양식으로 만들어지고 불린 노래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1885년 기독교 선교사의 내한을 계기로 찬송가가 전파되었다. 이를 찬송가, 찬양가, 찬미가라는 용어와 함께 새로운 노래라는 뜻의 신식창가 또는 창가라 하였다. 이후 19세기 말 애국계몽운동이 전개가 되었는데, 그 일환으로 만들어 부른 노래를 애국창가, 계몽창가 또는 신식창가라 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학교가 설립되어 창가라는 교과목이 개설이 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교수된 노래를 교육창가, 창가, 신식창가라 하였다. 그런 한편 1905년부터는 한국인에 의해 서양식의 새로운 노래가 창작이 되었는데, 이를 창작창가 또는 신식창가라 하였다. 그리고 191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의 대중가요에 우리 말 가사를 붙인 노래가 유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유행창가 또는 신식창가라 하였다.

내용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서양의 장단음계로 만들어진 단순한 선율의 노래이지만, 가사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다양하다. 즉 찬송가를 비롯하여 애국애민의 정신과 근대사상을 고취시키는 내용의 노래, 조선의 독립 투쟁을 다룬 노래, 교육적인 내용의 노래, 당시의 삶을 표현한 노래, 일본을 찬양하는 노래 등이 있었다.

의의와 평가

서양의 노래가 한국에 전해져 한국의 문화과정에 통합 정착된 새로운 양식의 노래라는 의미와 함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생성 및 성장된 한국양악의 양식 개념으로 존재하고 기능하였으며, 192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창작 동요, 대중가요, 예술가곡, 국민가요 등을 낳게 하였다.

참고문헌

『우리양악100년』(이강숙, 김춘미, 민경찬, 현암사, 2001)
『한국 창가의 색인과 해제』(민경찬, 한국예술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