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십육나한상 및 권속 ( ·)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 / 석가모니불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 / 석가모니불
조각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에 있는 조선후기에 조성된 불상 및 복장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ㆍ십육나한상 및 권속(平昌 上院寺 靈山殿 釋迦三尊ㆍ十六羅漢像 및 眷屬)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1년 08월 12일 지정)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로 1211-14 (진부면, 상원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에 있는 조선후기에 조성된 불상 및 복장유물.
내용 및 특징

상원사 영산전(靈山殿)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 삼존(釋迦三尊) 및 제존상(諸尊像)으로, 2011년 8월 12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영산전은 고대 인도의 영축산(靈鷲山)에서 석가모니가 여러 보살과 제자 · 호법신중 등을 모아 놓고『법화경(法華經)』을 설법하던 당시에 장면을 사찰에 옮겨 놓은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갖춘 상원사 영산전 중앙에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미륵보살(彌勒菩薩)과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提花竭羅菩薩)이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을 이루며 봉안되어 있다. 그 좌 · 우에는 당시에 설법을 듣던 석가모니의 제자인 나한이 각 8구씩 모두 16구가 있다. 이들은 현장(玄裝)이 번역한『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에 거론된 나한들로, 왼쪽에는 1, 3, 5, 7, 9, 11, 13, 15 나한이, 오른쪽에는 2, 4, 6, 8, 10, 12, 14, 16 나한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15나한과 16나한 끝에는 제석천(帝釋天) 1구와 사자(使者) 1구씩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어 총 21구의 존상이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들은 미륵 보살상에서 발견된 조성 발원문과 중수 발원문을 통해 1711년(숙종 37) 혜주(惠珠), 정행(淨行), 사언(思彦) 등 3인의 조각승(彫刻僧)과 진취(進趣), 도청(道淸) 등 2명의 화승(畵僧)에 의해 제작되어 천주산(天柱山) 운복사(雲覆寺)에 최초로 봉안되었다가 이후 1886년(고종 23) 왕실의 내탕금(內帑金)을 시주 받아 당대 최고의 화승인 혜산당(惠山堂) 축연(竺衍)이 채색하여 오대산 상원사로 이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산전 내에 봉안된 석가삼존 및 제존상은 모두 좌상의 형태로, 그 제작 기법은 본존불인 석가불과 일부 나한은 소조(塑造)이며, 나머지 상들은 목조(木造)로 제작되었다. 본존인 석가불은 높고 큼지막한 육계(肉髻)에 나발(螺髮)을 촘촘히 새겼으며, 육계 중간에 위치한 중앙 계주도 뚜렷한 편이다. 풍만한 얼굴에는 코와 입이 거의 붙어있어 턱이 상대적으로 길어 보이며, 상체가 얼굴에 비해 작고 길며 하체는 낮고 짧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빈약하고 양감이 없는 편이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서 아래로 내렸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이른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을 갖추고 있다.

석가불 좌 · 우에 위치한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은 높고 넓은 독특한 형태의 보관(寶冠)을 머리에 쓰고 두 손에 용화(龍華)와 여의(如意)를 쥐고 있는 차이가 있을 뿐, 본존과 동일하게 길고 풍만한 얼굴, 긴 상체에 비해 낮은 하체의 표현 등은 공통점이다.

나한들은 삼존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각 존자별로 개성 있는 얼굴을 표현하였다. 제1존자인 빈도라발라타사 존자(賓度羅跋囉惰闍 尊者)는 큼지막한 민머리, 사각형의 얼굴, 그 안에 눈꼬리를 내린 눈썹과 주먹코, 그리고 U자로 깊이 팬 두 뺨과 살짝 벌려 앞니를 들어 낸 입에서 늙은 비구지만 장난기가 가득한 모습이다. 이에 비해 제2존자인 가락가벌차 존자(迦諾迦伐蹉 尊者)는 수도승의 머리를 하고, 방형의 얼굴 안에는 길고 가느다란 눈썹과 매부리코, 작지만 굳게 다문 입에서 젊은 수도자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16나한들은 각 존자별로 다양한 얼굴 표정을 갖추고는 있지만, 신체의 표현에서는 다소 형식화가 진행되었다.

15나한과 16나한 끝에는 천의를 입고 합장하고 있는 제석천과 무릎을 꿇고 두 손을 앞으로 모아 긴 막대를 쥐고 있는 사자가 있는데, 이 상들의 얼굴, 신체 등에서 삼존불과 유사한 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석가삼존 및 제존상은 조각 수법이 정교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제작 시기, 봉안 사찰, 조각승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조성 발원문과 이후 오대산 상원사로 이안한 중수 발원문 등을 동반하고 있다. 또한 개성 있고 다양한 모습을 갖추고 있어 18세기 전반에 나한상 연구의 매우 중요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강원도』(2002)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손영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