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천방사 금동 여래 좌상 ( )

예산 천방사 금동여래좌상
예산 천방사 금동여래좌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천방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조성된 동조도금의 불상. 시도유형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재(2010년 07월 30일 지정)
소재지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천방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조성된 동조도금의 불상.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및 특징

천방사의 옛 이름은 이화사이며, 1895년(고종 32)에 사찰이 소실된 후 다시 중창하였다고 전한다. 천방사 금동여래좌상은 결가부좌의 단정한 자세에 두 손을 배 부근에서 포개어 맞잡은 선정인을 취한 독특한 형식의 불상이다.

머리에는 둥글고 큼직한 육계가 솟아 있고, 중앙과 정상에는 동그란 계주를 표현하였다. 두터운 도금으로 인하여 원래의 얼굴 모습은 잘 알 수 없으나, 도금 위에 드러난 모습은 타원형의 갸름한 얼굴에 고요하게 선정에 잠긴 모습이다. 좁은 어깨에 걸친 착의법은 두 장의 대의를 걸친 모습이며, 왼쪽 어깨 뒤로 넘긴 대의 자락은 나뭇잎 모양으로 곧게 내렸다. 두 손은 배 밑에 두고 서로 맞잡은 선정인의 변형식인데,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통영 안정사 금동여래좌상 등 고려 후기에 조성된 소형 불상에서 드물게 보이는 수인이다. 이 중 통영 안정사 금동여래좌상의 바닥면에 붉은색 글씨로 “제사십이(第四十二) 혜위등광불(惠威燈光佛)”이라고 적고 있어 53불 중 하나로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크기나 도상, 재질 면에서 거의 같기 때문에 이 불상도 다불(多佛) 신앙에 의해 조성된 불상 중 하나였을 것으로 보인다.

가슴에는 ‘八’자 형태의 가슴 근육이, 그 아래로는 수평으로 입은 치마(裙衣)의 단과 이를 외매듭으로 묶은 띠가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는 Ω형 주름이 잡혀있고, 결가부좌한 무릎에는 활처럼 휘어진 2~3 가닥의 얕은 주름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있다. 이러한 모습은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이나 아산 인취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등과 비교된다. 전체적으로 둥글게 솟은 육계, 갸름한 타원형 얼굴, 변형통견식 착의법, 두 손을 맞잡은 선정인, 왼쪽 어깨의 Ω형 주름, 군의의 띠 자락 등은 대체로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제작된 불상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천방사 소장의 금동여래좌상은 선정인을 한 소형 금동불로서 양감이 절제된 단아한 형태, 변형통견의 착의형식, 왼쪽 어깨 위의 Ω형 주름, 군의를 묶은 띠 매듭, 몇 가닥의 주름이 활처럼 휘어진 무릎 주름 등에서 여말 선초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고, 두 손을 맞잡은 특유의 선정인 도상은 다불(多佛) 신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 시기 불상 양식 및 도상, 신앙 연구에 흥미로운 작품이다.

참고문헌

「충청남도 도보」2087호(201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손영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