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과 지상, 지하의 교주로 신앙되는 세 보살을 천장 · 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각각 나누어 2폭 형식으로 조성된 삼장보살도이다. 화기를 통해 1741년(영조 17)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천장 · 지지보살도는 세로 215.0㎝, 가로 292.0㎝, 지장보살도는 세로 212.0㎝, 가로 171.5㎝ 크기의 비단 바탕에 각각 채색을 베푼 그림이다. 2009년 3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삼장보살도는 화면 중앙에 천장보살(天藏菩薩)과 왼쪽(향우측)의 지지보살(持地菩薩), 오른쪽(향좌측)의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축으로 각 보살 주위에 여러 권속들을 거느린 불화를 말한다. 삼장보살은 천상과 지상, 지하의 교주로 신앙되는 세 보살을 칭하는데,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인 수륙재와 관련있는 불화로 보고 있다. 도상 또한 중국 수륙화 혹은 수륙 벽화에 유사 도상과 명칭이 확인되고 있으나, 조선시대 삼장보살도 도상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삼장보살도는 대개 1폭으로 조성되지만, 2폭 또는 3폭으로 조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 그림은 천장 · 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나누어 2폭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일반화되지 않은 작품의 형식이다. 작품이 제작되던 1741년(영조 17) 흥국사에서는 대규모 불화 불사가 진행되었는데, 동시 제작된 불화가 현재 삼장보살도를 비롯하여 7점이 남아있다. 당시 불사를 주도한 화승은 긍척(亘陟)으로, 그는 18세기 대표적 화승인 의겸의 제자이다. 1741년(영조 17) 제작된 흥국사의 불화들은 스승인 의겸과는 다른 자신만의 화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중 삼장보살도의 경우, 지장보살도는 안정된 구도와 보색대비 등의 효과를 잘 살리는 의겸의 특징이 반영된 반면 천장 · 지지보살도는 인물들의 개성 있는 얼굴 묘사, 구성의 질서정연함 등 긍척의 개성이 더 구현되고 있다. 또한 천장회상(天藏會上)과 지지회상(持地會上)을 한 화폭에 담고 지장회상(地藏會上)을 따로 한 폭에 그려 형식에서도 이전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 삼장보살도 사례를 제외하고는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도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의겸과 그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제자들의 화풍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