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흥국사 제석도 ( )

여수 흥국사 제석도
여수 흥국사 제석도
회화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여수시 영축산(靈鷲山) 남서쪽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인 흥국사에 있는 제석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여수 흥국사 제석도(麗水 興國寺 帝釋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3월 20일 지정)
소재지
흥국사길 160(중흥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영축산(靈鷲山) 남서쪽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인 흥국사에 있는 제석도.
구성 및 형식

제석천을 주존으로 하는 제석천도와 호법신들을 그린 천룡도를 별도로 제작하여 2폭이 1조를 구성하는 형식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화기를 통해 1741년(영조 17)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크기는 세로 129.0㎝, 가로 115.5㎝의 비단 바탕에 채색을 베푼 불화로, 2009년 3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을 그린 신중도는 조선 후기에 가장 많이 제작되었던 불화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조선시대 신중도는 18세기부터 20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그려졌다. 특히 제석천은 불법(佛法)을 지키는 여러 신들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신으로, 본래 고대 인도에서 믿었던 신 인드라(Indra)로 제석(帝釋), 천제석(天帝釋) 등으로도 부르며, 벼락을 신격화한 것으로 불교가 성립되면서부터 불교 속으로 수용되었다.

흥국사 제석도는 화면 가운데 병풍을 두르고 선견성(善見城)이 표현된 부채를 든 제석천을 중심으로 좌우에 천자와 천녀, 천동이 에워싼 모습이다. 이같은 제석천의 도상 구성은 기본적으로 16세기 제석천도를 계승한 것이다. 이 불화를 그린 화승은 긍척(亘陟)외 3인이 관여하였는데, 긍척은 18세기 대표적 수화승 의겸의 제자이다.

의의와 평가

여수 흥국사 제석도는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의 작품을 제외하고는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도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또한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 구성, 각 도상의 표현 등에서 18세기 대표적 수화승인 의겸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긍척을 비롯한 제자들의 화풍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문헌

『신중 불교의 수호신들』(국립중앙박물관, 2013)
『한국불교미술사』(김리나 외, 미진사, 2011)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조선 전기 불화 연구』(박은경, 시공사, 2008)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은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