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포교당 석조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포교당 석조관음보살좌상
양산 포교당 석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포교당에 봉안되어 있는 1688년에 조각승 충옥이 제작한 석조관음보살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포교당 석조관음보살좌상(梁山 布敎堂 石造觀音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3월 05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포교당에 봉안되어 있는 1688년에 조각승 충옥이 제작한 석조관음보살좌상.
개설

200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조보살좌상은 높이 59.5㎝, 무릎 너비 37.3㎝. 보살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88년(숙종 14) 조각승 충옥(忠玉), 극신(剋信), 초변(楚卞), 진기(進機), 혜민(惠敏), 각초(覺楚), 도견(道見)이 경상남도 밀양 자씨산 형원사(瑩原寺)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석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 59.5㎝의 중형 보살상으로, 전체가 돌로 만들어져 있으며, 손상된 부분은 거의 없다. 무릎 폭이 좁고 상체도 짧은 편이어서 전체적으로 왜소한 인상이다. 몸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고, 뺨과 턱에는 양감이 나타나 있으며, 코는 이마로부터 돌출한 특징이 보인다. 옷은 조선 후기 일반적인 보살상처럼 매우 두꺼운 군의, 승기지, 부견의, 대의를 착용하였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지만, 보살의 존명을 알려줄 지표는 없다.

두 손으로 지은 수인은 매우 독특하다. 양손 모두중지와 약지가 장심을 향해 구부리고 있으며, 왼손은 손등을 오른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도록 하였다. 이 같은 수인은 무엇을 뜻하는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특정 존상의 수인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석가불, 아미타불, 미륵보살 등 존명에 상관없이 같은 수인이 채용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인은 존상보다 재질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석조보살좌상을 조성한 충옥이 1690년(숙종 16)에 만든 전남 곡성 도림사의 목조지장보살좌상, 1694년(숙종 20)에 만든 경남 함양 용추사 목조지장보살좌상, 1705년(숙종 31)에 만든 경남 의령 백련암 목조 대세지보살 좌상 등 목조상에서는 팔과 손을 위로 들고 있는 형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석상에서 손을 대퇴부 바로 위에 붙여서 만드는 이유는 불상에 소용되는 석재를 아끼고, 파손의 위험도 줄이기 위한 방안이었다. 이 같은 손 모양은 석조각 전문가인 승호파 조각승들에게서도 발견되는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양산포교당 석조관음보살좌상은 충옥만의 독창적인 얼굴 모습과 조각 수법 등이 뛰어난 17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관음보살상은 1688년이라는 제작 시기와 17세기 후반의 대표적 조각승 충옥이 만든 작품이라는 점에서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와 조각승 출옥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경인문화사,2011)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양식의 변천」(최선일,『미술사학연구』261,한국미술사학회,2009)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송은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