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나가사키) ( (Nagasaki[]))

정치
유적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縣] 나가사키시[長崎市] 마쓰야마마치(松山町) 평화공원(平和公園) 내에 있는 에 건립된 위령비. 한국인원폭희생자위령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縣] 나가사키시[長崎市] 마쓰야마마치(松山町) 평화공원(平和公園) 내에 있는 에 건립된 위령비. 한국인원폭희생자위령비.
개설

1945년 8월 9일 미군이 나가사키에 투하한 원폭으로 27만 명 가량이 피폭을 당하고 7만 여명이 사망한 가운데, 조선인 2만 명 정도도 피해를 입었고 그 중에 약 1만 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생존자 1만 명 가운데 귀국자가 8천 명, 잔류자가 2천 명 정도 되는 것으로 보았다.

1967년 한국에서 ‘원폭피해자협회’가 결성된 후 지속적으로 일본정부에 대해 생존자의 치료와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가운데 ‘나가사키 재일조선인의 인권을 지키는 모임’이 위령비 건립을 제기했으며, 일본인들이 모금운동에 돌입하여 50만 엔을 조성하고, 1979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폭투하 중심지점 부근에 추도비를 세웠다.

역사적 변천

일본에서는 일찍이 1957년 원폭의료법이 시행되어 일본 거주 피폭자에 대한 치료 지원을 시작했으나 일본을 벗어난 피폭자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75년에 나가사키에서는 의료조사단이 결성되어 한국을 방문하여 피해자 실태조사를 실시했고, 1979년에 들어서는 한국과 일본정부 사이의 교섭에 따라 한국인 피폭자의 도일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에서 한국인 피폭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나가사키에서도 위령비 건립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1979년 8월 9일에 추도비 제막식을 거행하기에 이르렀다.

내용

추도비 전면에는 ‘추도 나가사키 원폭 조선인 희생자 1945. 8. 9’라고 새겨져 있다.

특징

검은 대리석의 석비에 노란 글씨가 대조적이다. 이 추도비의 특징으로 일본인들만의 모금으로 세워진 것을 들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매년 거행되고 있는 나가사키 원폭 추도회에 맞추어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 앞에서도 일본의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추도회가 열리고 있다. 일본의 과거 전쟁을 반성하고 무고한 조선인 희생자를 추도하는 시설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히로시마·나가사키 조선인 원폭피해에 대한 진상조사: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자를 중심으로』(허광무,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2011)
『내 몸에 새겨진 8월: 히로시마, 나가사키 강제동원 피해자의 원폭체험』(국무총리실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8)
『朝鮮人被爆者: ナガサキからの證言』(長崎在日朝鮮人の人權を守る會, 社會評論社, 1989)
『朝鮮人被爆者とは: かくされた真実』(岡正治, 長崎在日朝鮮人の人権を守る会, 1986)
『朝鮮人被爆者と私: 法政大学における講演1982年5月28日』(岡正治, 朝鮮人被爆者の記録映画を作る会, 1982)
『原爆と朝鮮人』(長崎在日朝鮮人の人權を守る會,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