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뉴 웨이브 (Korean new wave)

목차
관련 정보
영화
개념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후반까지 한국영화의 새로운 혁신을 지향하며 등장한 새로운 세대의 영화로, 한국영화사에서 최초로 하나의 사조로 지칭된 영화용어.
정의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후반까지 한국영화의 새로운 혁신을 지향하며 등장한 새로운 세대의 영화로, 한국영화사에서 최초로 하나의 사조로 지칭된 영화용어.
개설

1996년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가 개최되면서 한국영화를 국제적으로 알리려는 목적으로 만든 책자의 제목에서 유래되었다. 당시 영화제에서는 이전의 한국영화와는 다른 서사, 스타일, 주제 등의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바람불어 좋은 날』(1980)이 그 신호탄이었고, 이는 ‘리얼리즘 영화의 부활’이라고 명명되었다.

코리안 뉴웨이브는 개별 민족영화로서의 한국영화, 이전 한국영화와는 다른 변화된 영화, 재능있는 신인 감독들의 대거 진출 등을 국제적으로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였지만, 한국영화의 시대 구분에 사용될 정도로 한국영화사 기술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용

이장호 감독을 위시하여 장선우, 박광수 등 당시 젊은 신인감독들의 영화는 눈물을 자아내기 위해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서사구조의 신파물이나 스토리의 개연성보다는 격투 장면만을 특화하려는 액션영화, 전통적인 윤리와 관습의 토대 위에 구성되는 멜로나 홈드라마 등으로 기존 한국영화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며 등장했다.

이를 의미 규정하고 국제적으로 소개하며 한국영화의 위상을 알리기 위해 등장한 것이 ‘코리안 뉴웨이브’라는 용어이다. 이탈리아의 ‘네오 리얼리즘 주1 나 프랑스의 주2, 일본의 ‘쇼치쿠 누벨바그’, 미국의 ‘뉴 아메리칸 시네마’, 독일의 ‘뉴 저먼 시네마’ 등을 참고로 한 작법이지만, 개별 국가의 영화 역사에서 그러한 시기가 가지는 의미를 평가하고 연구하는 방식을 한국영화에 적용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개별국가의 영화 역사 시기 구분은 일부 예외를 제외한다면 커다란 변혁의 시기를 겪는다. 영화의 내적 연속성이나 자생적이라기보다는 문화적, 예술적, 정치 · 사회적 교류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1990년대 중반에 이러한 용어가 만들어지고 유통된 것은 정치적으로는 세계화 담론 때문이었다. 또한 영화계로서는 영화 전문 잡지나 영화제 등 영화 문화의 확장과 한국영화 흥행 호조, 대기업 자본의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한국영화’로서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강조할 필요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한편 영화사 기술에서 변혁의 지점을 만드는 것은 전후의 맥락을 파악하고 사회와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기도 했다. 따라서 의도적인 명명과 의미부여가 있었다고는 해도 1996년에 이전 10여 년의 한국영화를 평가하고 규정한 것은 한국영화사 기술에 상당한 의미와 의의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영화라는 낯선 경계』(김선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한국영화사: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김선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1990년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단독성을 해명하기 위한 노트」(김소연, 『영화연구』, 2020)
주석
주1

제이 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45년 무렵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에서 성행한 영화 운동. 잘 짜인 스튜디오 영화나 해피 엔드를 거부하며, 현지 촬영에 치중하면서 일상인들의 삶의 모습을 다큐멘터리식으로 진솔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전거 도둑>, <무방비 도시#GT#따위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우리말샘

주2

195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젊은 영화인을 중심으로 일어난 영화 운동. 기존의 영화 작법을 타파하고 즉흥 연출, 장면의 비약적 전개, 대담한 묘사 따위의 수법을 시도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유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