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보현암 석조 아미타여래 좌상 ( )

음성 보현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음성 보현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보현암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음성 보현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陰城 普賢庵 石造阿彌陀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7년 11월 23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음성군 탑골길 30-41 (금왕읍) 보현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보현암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석조아미타여래좌상.
개설

2007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113㎝. 이 불상은 원래 보현암에서 출토된 상은 아니고, 1970년경 금왕읍 오선리 오선초등학교 교정에서 출토되어 보현암으로 이관된 상이다. 현재 법당 뒤편에 안치되었다가 현재는 보현암 내 전각에 석조관음보살의좌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007년 지정)와 함께 봉안되어 있다. 화강암의 앞면만을 다듬어 가운데가 잘록한 거신광을 마련하고 그 안에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있는 독존의 여래좌상을 높은 부조로 새겼다. 두 손을 배 앞에 모아 아미타정인을 짓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미타불로 추정된다.

내용과 특징

머리는 소발로 보이고 육계는 낮다. 귀가 길게 늘어지고 얼굴은 광대뼈가 두드러지는 등 윤곽선이 뚜렷하며 입가에는 인자한 미소가 보인다. 이마에 백호공이 크게 뚫려 있는데, 후대에 백호를 감입하였다. 불신은 상체가 짧아서 웅크린 듯 보이고 대의는 오른쪽 어깨만을 살짝 덮은 편단우견으로 가슴에 내의가 보이며 왼쪽 어깨 쪽 대의는 마치 묶은 것처럼 보인다. 결가부좌한 다리 폭은 넓으나 옷주름은 표현되어 있지 않다. 두광과 신광은 굵은 띠 형태로 낮게 부조하고 화염문은 소략하다. 수인은 두 손을 배 앞에 모아 아미타정인을 짓고 있다.

의의와 평가

규모가 크거나 조각 양식이 정교한 상은 아니나, 얼굴의 표정이 잘 표현되어 있고 웅크린 자세와 반단의 대의 그리고 아미타정인의 수인 등이 고려 말이나 조선 전기의 라마계통 불상의 특징을 따르고 있는 상이므로 조성 시기도 그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의사지-충청북도』,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4
『충북의 사지』, 청주대학교박물관, 2007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충청북도(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6)
「음성 탑골사지 조사약보」,(박상일, 『청주대학교박물관보』 창간호, 청주대학교박물관, 1986)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김춘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