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경은사 목조 문수보살 좌상 및 복장유물 ( )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경은사 요사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문수보살좌상과 복장 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천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堤川 慶恩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臟遺物)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07월 25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금봉로 276 (백운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경은사 요사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문수보살좌상과 복장 유물.
개설

2008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살상의 높이 30㎝. 경은사 요사채에 봉안되어 있는 작은 호지불(護持佛) 성격의 목조문수보살좌상은 높이가 30㎝인 소형불상으로, 이 불상이 언제부터 경은사에 소장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1940년대에 폐사지로 있던 곳에 경은사가 지어지면서 모셔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보살상은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36년에 조각승 승일(勝一), 혜윤(惠允), 승일(勝一), 도우(道祐) 등이 제작하였다.

내용 및 특징

목조문수보살좌상은 높이 30㎝의 소형으로, 콧날이 오뚝하고 단정한 인상을 준다. 머리에 두건을 쓰고, 검은 보발이 어깨 위로 흘러내려 넓은 매듭을 짓고 두 가닥으로 갈라져 양쪽 팔까지 흐르고 있다. 손은 배에서 맞대어 잡고 있다. 대의는 어깨를 반단 형태로 둥글게 덮은 모습이고, 가슴에는 승각기를 묶은 띠 매듭이 보인다. 다리를 덮은 옷자락은 좌우로 넓게 벌어지며 밑으로 늘어지는데 옷주름선의 표현이 부드럽고 유려하다.

복장기는 묵서(墨書)와 주서(朱書)로 된 것이 각각 1장씩 있다. 묵서 복장기에는1636년에 대지문수사리보살(大智文殊師利菩薩)을 조각승 승일(勝一)이, 좌대는 혜윤(惠允), 도우(道祐) 등이 조성한 내용이고, 주서 복장기는 1907년(광무 10)에 불화승 봉감이 보살상을 개금한 기록이다.

의의와 평가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호지불 성격의 크기가 작은 불상이다. 두건을 쓴 도상이 특이하며 조각 솜씨가 단정하다. 또한 조성 시기와 불상을 만든 조각승을 알 수 있어 중요하다. 승일은 17세기 중엽 경에 주로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약한 조각승으로, 수화승(首畵僧)으로 그가 조성한 불상은 구례 천은사 수도암의 목조아미타삼존불상(1646년), 전라남도 강진 정수사 목조삼세불상(1648년), 서울 봉은사 목조삼세불상(1651년) 등이 있다.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조성 시기가 1636년인 것으로 볼 때, 승일이 아직 수화승으로 활약하기 이전에 제작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 선집』Ⅱ(최선일,양사재,2018)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충청북도(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6)
「조각승 승일파 불상조각의 연구」(이분희, 『강좌미술사』26, 한국미술사연구소, 2006)
집필자
김춘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