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살상의 높이 30㎝. 경은사 요사채에 봉안되어 있는 작은 호지불(護持佛) 성격의 목조문수보살좌상은 높이가 30㎝인 소형불상으로, 이 불상이 언제부터 경은사에 소장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1940년대에 폐사지로 있던 곳에 경은사가 지어지면서 모셔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보살상은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36년에 조각승 승일(勝一), 혜윤(惠允), 승일(勝一), 도우(道祐) 등이 제작하였다.
목조문수보살좌상은 높이 30㎝의 소형으로, 콧날이 오뚝하고 단정한 인상을 준다. 머리에 두건을 쓰고, 검은 보발이 어깨 위로 흘러내려 넓은 매듭을 짓고 두 가닥으로 갈라져 양쪽 팔까지 흐르고 있다. 손은 배에서 맞대어 잡고 있다. 대의는 어깨를 반단 형태로 둥글게 덮은 모습이고, 가슴에는 승각기를 묶은 띠 매듭이 보인다. 다리를 덮은 옷자락은 좌우로 넓게 벌어지며 밑으로 늘어지는데 옷주름선의 표현이 부드럽고 유려하다.
복장기는 묵서(墨書)와 주서(朱書)로 된 것이 각각 1장씩 있다. 묵서 복장기에는1636년에 대지문수사리보살(大智文殊師利菩薩)을 조각승 승일(勝一)이, 좌대는 혜윤(惠允), 도우(道祐) 등이 조성한 내용이고, 주서 복장기는 1907년(광무 10)에 불화승 봉감이 보살상을 개금한 기록이다.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호지불 성격의 크기가 작은 불상이다. 두건을 쓴 도상이 특이하며 조각 솜씨가 단정하다. 또한 조성 시기와 불상을 만든 조각승을 알 수 있어 중요하다. 승일은 17세기 중엽 경에 주로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약한 조각승으로, 수화승(首畵僧)으로 그가 조성한 불상은 구례 천은사 수도암의 목조아미타삼존불상(1646년), 전라남도 강진 정수사 목조삼세불상(1648년), 서울 봉은사 목조삼세불상(1651년) 등이 있다. 경은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조성 시기가 1636년인 것으로 볼 때, 승일이 아직 수화승으로 활약하기 이전에 제작한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