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봉은사 목 삼존불상 (서울 )

조각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1745년에 조각승 태원이 제작한 목조삼존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봉은사 목 삼존불상(석가불, 가섭존자, 아난존자)(奉恩寺 木 三尊佛像(釋迦佛,迦葉尊者, 阿難尊者)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7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1745년에 조각승 태원이 제작한 목조삼존불상.
개설

200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가불 높이 66.8㎝, 무릎 폭 48㎝, 가섭존자 높이 76㎝, 어깨 폭 23.5㎝, 아난존자 높이 73.8㎝, 어깨 폭 24㎝. 목조석가모니불좌상은 도금(鍍金)되어 있으며, 불상의 대좌와 목조가섭존자상, 목조아난존자상은 채색이 입혀진 상태이다. 불상의 왼손은 따로 제작하여 끼운 상태이다.

봉은사 목삼존불상은 불상 대좌에 “건륭(乾隆) 10년”이라는 묵서(墨書)가 있어서 1745년에 태원(泰元) 세준(世峻) 상정(尙淨) 등이 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삼존불상 뒤의 후불화(後佛畵)에는 1895년에 개금(改金)하였다는 화기(畵記)가 있어 불상이 개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내용

목조석가여래불좌상은 통견(通肩)식으로 법의를 입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한 채 가부좌하고 있다. 불상은 머리를 앞으로 살짝 숙여 아래쪽을 응시하고 있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에 살짝 올려놓은 촉지인 모습이며,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상태로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불상은 작지만 어깨가 넓고 하반신이 두꺼워 건장한 모습의 안정된 자세를 갖추고 있다. 양쪽 무릎을 덮고 내려오는 법의 자락에서는 역동감을 느낄 수 있다.

상호(相好)는 이마의 폭이 넓고 턱 부분이 약간 좁은 타원형으로, 큰 귀와 가늘고 긴 눈, 살짝 미소를 머금고 있는 입을 가지고 있다. 머리에 비해 큼직큼직한 나발(螺髮), 머리와 경계가 구별되지 않는 육계(肉髻), 다소 형식화된 듯한 원통형의 정상 계주(髻珠)와 반원형의 중앙 계주, 신체의 윤곽선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두꺼운 법의 등에서 다소 형식화된 느낌이 든다.

불상 좌우에서 협시하는 가섭존자상과 아난존자상은 4등신 내지 5등신의 비례를 갖추고 있는 조선 후기 나한상들의 조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이다. 이들 존자상은 석가모니의 제자답게 합장한 채 공손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나이 든 모습의 가섭존자상(迦葉尊者像)은 정수리 부분이 솟구쳐 올라와 있으며, 가사를 걸치고 있는데 복부에는 요포(腰布) 같은 것을 겹쳐 입었다. 젊은 수행자의 모습을 한 아난(阿難)존자상은 원령(圓領)의 내의(內衣)와 군의(裙衣)를 입고 그 위에 가사를 걸치고 있다.

특징

봉은사 목삼존불상은 크기가 작고 약간 형식화되긴 하였지만, 장중한 느낌의 신체 비례와 특징을 갖춘 불상과 수행자로서의 정신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존자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불상은 불상답게, 존자상은 수행자답게 존격에 맞게 표현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봉은사 목삼존불상은 불상 대좌에 기록된 묵서를 통하여 1745년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삼존불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17세기 중반부터 활발해진 큰 규모의 불상을 제작하던 단계를 지나 사찰의 부속 건물에 봉안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던 불상의 기준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선집』Ⅲ(최선일,양사재,2018)
『한국의 사찰문화재』서울특별시(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조계종출판사, 2012)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경인문화사,2011)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안귀숙·최선일,양사재,2009)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봉은사』(대한불교조계종 수도산 봉은사, 2004)
집필자
배재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