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340㎝, 어깨 폭 92㎝. 석불입상은 원래 요사채로 사용되던 건물 안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야외에 모셔져 있다. 미타사 석불입상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석불의 성격과 조성 배경은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원래의 팔각연화대좌는 따로 보관되어 있으며,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근년에 후보한 것이다. 석불입상이 언제부터 미타사에 봉안되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없다.
미타사 석불입상은 옥개형의 원형 보관을 제외하고 하나의 돌을 다듬어 만들었다. 보관의 아랫부분을 불상의 정수리가 맞닿는 크기에 맞춰 파낸 다음, 머리 위에 올려놓았다. 이러한 보관은 원래 불상 위를 장식하던 보개나 천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고려시대 불상에서부터 나타난 전통이다.
석불입상은 7등신의 늘씬한 신체 비례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음각으로 얕게 표현된 상호(相好)와 굵고 둥근 목, 장방형의 몸 등 다소 경직된 모습이며, 살짝 살이 오른 듯한 양 볼, 장방형의 신체, 면을 살린 조각 기법 등에서 조선 전기 불상의 특징이 간취된다.
불상의 법의는 양쪽 어깨를 덮는 통견(通肩)식이나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옆구리 쪽으로 가로 지르는 대의(大衣) 자락으로 인하여 얼핏 보면 편단우견(偏袒右肩)식 착의법을 한 것 같이 보인다. 대의는 복부 중앙에서부터 무릎까지 U자형으로 반복해서 흘러내린다. 그 아래에는 자를 대고 음각한 것처럼 수직으로 딱딱하게 그어 표현된 군의(裙衣) 자락이 보인다. 불신(佛身)을 감싸고 있는 법의는 그다지 유기적이지 못하여 법의 주름이 부자연스러우며 팔이나 손도 신체에 비해 상당히 큰 편이다.
미타사 석불입상은 뒷면과 측면에도 조각되어 있으나 정면 위주의 조형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또한 미타사 석불입상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선(線)보다는 면(面)을 살려 조각하여 평판적이라고 할 수 있다.
미타사 석불입상은 원형의 보관, 가늘게 뜬 눈, 어깨까지 닿아 있는 큰 귀, 후덕해 보이는 양 볼, 굵고 둥근 목, 장방형의 몸을 갖추고 있다. 4m가 넘는 장방형의 돌을 잘라서 대충 다듬은 다음, 상호는 부드럽게 표현하고 불신은 돌의 크기에 맞춰 대충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미타사 석불입상은 옥개형 보관, 후덕한 모습의 상호(相好), 다소 경직된 불신(佛身), 면(面) 위주의 조각 기법 등에서 조선 전기 경기도 지방에서 조성된 석불의 특징이 나타난다. 석불입상은 구체적인 조성 배경은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경기도에서 고려시대 거불(巨佛)의 전통을 계승한 대규모의 석불이 조성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어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