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355.2㎝, 가로 401.2㎝.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불화이다. 본존인 석가와 협시인 문수 · 보현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권속들을 대칭적으로 배치한 구도이다. 화기를 통해 1882년(고종 19)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호은(虎隱) 문성(文性)이 증명(證明)을 담당하였다. 전반적으로 화면 상태는 양호하다.
영산회상도는 영취산에 모여든 청중들에게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하는 광경을 주제로 그린 불화를 말한다. 이 불화는 대웅전 전각 내에 봉안된 목조석가삼존불좌상(1622년)의 후불벽에 걸려있는 후불도로, 1882년에 수화승 수룡당 기전(繡龍堂 琪銓)이 대웅전의 삼장보살도, 신중도와 함께 제작한 영산회상도이다.
화면 중앙에 항마인의 본존 석가를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 · 보현보살을 포함한 보살상 8위를, 아래쪽에는 아난과 가섭, 천부상 2위, 사천왕상을 배치하고, 위쪽에는 분신불 2위, 10대제자와 팔부중 등이 본존을 에워싸고 있다.
본존 석가는 원형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연화대좌에 결가좌한 모습이다. 육신은 황색계를 바르고 두광은 녹청 안료를 발랐다. 착의는 가슴에 녹청색 군의에 홍색 매듭으로 마감하였고 그 위에 대의를 편단우견으로 착용하였다. 신체에서 발하는 물결무늬의 방광(放光)은 청 · 황 · 녹 · 적 등의 네 가지 색 띠를 규칙적으로 번갈아 배치하여 매우 화려하게 표현하였다. 이처럼 한색과 난색의 색동 띠 조합으로 이루어진 방광 표현은 조선 후기 불화에서 한 축을 이루는 광배 표현이면서, 기전이 제작한 불화에서 즐겨 볼 수 있는 광배이기도 하다.
채색은 전체적으로 수룡당 기전의 설채 특징이 드러난다. 차분한 녹색과 적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18~19세기에 유행한 강렬한 청색이 본존의 두발, 신광, 법의, 연화대좌, 그리고 권속들의 착의에 보조적으로 활용되었다. 불보살상의 신체는 황색계인데 반해 천부 및 제자상, 팔부중은 백색으로 칠하여 신분상의 위계를 나타냈다. 화면 가장 아래쪽에는 붉은색 바탕에 먹선으로 3칸의 화기란을 마련하고 그 안에 긴 내용의 화기를 묵서로 적었다.
이 불화의 제작자인 수룡당 기전은 19세기 후반 부산 · 경남 지역에서 활약한 불화승으로, 1877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약 30년간 30점 이상의 불화 제작에 관여하였다. 이 불화는 19세기 후반의 기전의 화풍을 살펴볼 수 있고, 부산 · 경상남도 지역의 불화의 특징과 불화승의 계보를 밝힐 수 있는 주요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