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연화사 신중도 (서울 )

회화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연화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19세기 신중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연화사 신중도(蓮花寺 神衆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3년 03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3길 56 (회기동, 연화사법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연화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19세기 신중도.
개설

2013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면 바탕에 채색. 세로 154.2㎝, 가로 208㎝. 연화사 신중도는 1901년에 괘불, 천수천안관음탱, 현왕탱, 칠성탱, 산신탱 등과 함께 조성된 후 대웅전에 봉안되었다. 불화의 증명은 완허 보□(玩虛 普□), 월해 화□(越海 和□), 대은 돈희(大恩 頓喜), 연응 정현(沿應 正現)이 참여하였고 불화의 조성에는 한봉 응작(漢峰 應作)을 위시하여 덕월 응륜(德月 應崙), 대은 돈희, 계은 봉법(啓恩 奉法), 보산 복주(寶山 福珠), 보암 긍법(普庵 亘法), 금운 정기(錦雲 正基), 한곡 돈법(漢谷 頓法), 한명 한□(漢溟 漢□), 청암 운조(淸庵 雲照), 재겸(在謙), 두삼(斗三), 창오(昌旿) 등 12명의 화승들이 동참하였다.

내용

화면 상단에 제석천과 범천이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단의 중앙에 동진보살(위태천)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들 모든 장방형의 광배를 등지고 있어 중심 구도가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면의 양 측면에 무장신과 일월천신 등을 빈 공간 없이 배치하고 제석천과 범천의 사이에 악기를 연주하는 천동 · 천녀를 중앙에 모아 표현함으로써 화면 전체의 안정감을 준다.

특징

연화사 신중도의 모본은 남양주 흥국사 신중도(1883년)이다. 이 불화의 제작에 참여한 봉법(奉法), 긍법(亘法), 돈법(頓法), 두삼(斗三), 창오(昌旿) 등이 남양주 흥국사를 중심으로 크게 활약했던 화승들인 점을 고려하면 남양주 흥국사 신중도와 이 불화와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다.

짙은 적색을 주조색으로 하면서 각 존상의 두광 등을 하엽(荷葉) 계열의 짙은 녹색을 사용한 점, 천공을 짙은 청색으로 처리한 점은 19세기 불화에 일반적으로 보이는 채색법이다. 조선 말기의 불화들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금박(金箔)을 활용하여 신장상의 무기와 제석천 · 범천의 의복 등에 활용하고 있는 점, 의복 주름 처리에 바림법을 사용한 점은 19세기 중엽 이후의 서울 · 경기 지역의 화풍이다. 화면 상단의 채색이 약간 어둡게 변색되었지만 보존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의의와 평가

남양주 흥국사 신중도와 서울 봉은사 신중도는 서울 · 경기 지역에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유행했던 신중도를 대표하는 2가지 유형의 불화이다. 연화사 신중도는 두 대표 유형 중 남양주 흥국사 화승들의 활동 반경과 이들에 의한 불화 초본의 유통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35 조계사 직할사암편(중)(성보문화재연구원, 2005)
「조선후기 신중탱화 도상의 연구」(이승희, 『미술사학연구』228·229, 한국미술사학회, 2001)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이승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