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일원 ( )

대전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일원 전경
대전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일원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안동권씨의 유회당 권이진 관련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동권씨유회당종가일원(安東權氏有懷堂宗家一圓)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06월 27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 65 (무수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안동권씨의 유회당 권이진 관련 주택.
역사적 변천

조선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有懷堂) 권이진(權以鎭, 1668∼1734)은 지금의 대전광역시 남쪽 보문산(寶文山)을 조산(祖山)으로 삼아 자리를 잡고 집을 지었다. 그 뒤 화재로 불탔던 것을 1788년(정조 12)에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다시 지었는데, 주변은 안동권씨의 집성촌이다. 종가의 위쪽 구릉에는 유회당과 함께 기궁재(奇窮齋), 삼근정사(三近精舍), 장판각 등이 위치하여 있다.

내용

유회당은 ‘부모를 간절하게 사모한다’는 뜻이다. 종가의 주변은 사방이 둘러싸여 아늑한 느낌을 준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사당, 모정으로 구성되었다. 안채는 낮게 쌓은 막돌 기단 위의 대청을 중심으로 ‘ㄱ’자형 공간 구성을 갖추었고, 앞면 4칸 · 옆면 2칸의 사랑채는 ‘일(ㅡ)’자형으로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으며, 사당은 전형적인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종가 입구에는 초가집인 모정(茅亭)이 자리하고 있는데, 사방에 모두 현판이 걸려 있다. 곧 남쪽에는 광영정(光影亭), 서쪽에는 수월란(受月欄), 북쪽에는 인풍루(引風樓), 동쪽에는 관가헌(觀稼軒) 등의 편액이 걸렸다. 광영정은 옛 시인 ‘천광운영공배회(天光雲影共徘徊)’의 구절에서따온 것으로 광영정 옆에 있는 네모난 연못을 배회담(徘徊潭)이라고 부른다. 이 연못은 마을 위쪽에서 흐르는 물을 자연스럽게 모아 만들었는데, 물길은 광영정을 지나 마을로 흘러 나간다.

의의와 평가

초가로 만든 모정이 마을의 주요 경관을 형성하면서, 자연을 관조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채롭다. 현재 종가에는 18세기에 종가 주변의 경관을 그린 그림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건축문화재』─충남편(이왕기, 기문당, 1999)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