즌별가 ()

고전시가
작품
1896년 백선호가 신행 온 삼종 누이동생에게 석별의 아쉬움을 담아 지어준 규방가사.
이칭
이칭
전별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96년 백선호가 신행 온 삼종 누이동생에게 석별의 아쉬움을 담아 지어준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즌별가〉는 〈효행록〉과 합본되어, 『전별가 효행록 전(餞別歌 孝行錄 全)』이란 제목의 서책 형태로 전한다. 〈즌별가〉는 총 26면에 걸쳐 단정한 반흘림체 글씨로 필사되어 있다. 필사 방식을 살펴보면, 작품을 구와 행 단위로 구분하여 적었을 뿐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한 면에 8행씩 일정하게 배열하였다. 작품 말미에는 창작 내력과 저자이자 필사자의 신상을 드러내는 후기가 붙어 있고, 같은 면에 〈효행녹 즌별가 죵〉에 이어 ‘열녀는 불경이부 츙신은 불사이군’이라는 추신이 부기되어 있다. 〈즌별가〉와 합본된 〈효행록〉은 총 5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효행록〉은 백선호가 세번째 맞이하는 어린 아내에게 부부 간의 윤리를 가르치기 위해 적어둔 한문 산문이 원본이며, 한문을 읽지 못하는 누이동생을 위해 작자가 직접 한글로 번역하여 〈즌별가〉와 합본·제책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이 노래 한 곡조로 만단정회 기록하니”라는 구절에서 보이듯 〈즌별가〉에는 이별을 앞둔 삼종 남매 간의 정이 곡진하게 드러나 있다. 어린 시절 아버지와 영결한 누이동생에 대한 측은함과 아쉬움 어린 탄식의 말은 “즌별이야 즌별이야 우리 남매 즌별이야”라는 반복구를 통해 격정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사적이고 구체적인 감정이 계녀의 모티프와 무리없이 병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이동생이 효부·현처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덧붙인 계녀 항목은 교훈 전달이 목적이라기보다는 누이를 보내는 아쉬움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기 위한 정서적 장치라 볼 수 있다. 〈즌별가〉는 작자 백선호가 세번째 맞이하는 어린 아내를 염려하여 적어둔 〈효행록〉 한글본과 합본되어 전한다. 〈효행록〉은 제목과는 달리 ‘효’보다는 부부 간의 의리와 화합을 강조하고 있다. 『전별가 효행록 전』의 이러한 특징은 유년 시절 경험을 공유한 누이동생, 어린 아내라는 특정한 독자를 염두에 두고 지었다는 점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별의 아쉬움이라는 보편적 감정과 여성교양을 위한 계녀의 덕목을 결합한 남성 창작 규방가사 작품이다. 규방가사의 창작과 전승에서 소외된 기호지방 소재의 규방가사라는 점에서 규방가사의 분포 양상을 가늠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전별가 효행록 전(餞別歌 孝行錄 全)』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임형택, 소명출판, 2005)
「신출 가사 〈즌별가〉, 〈효열가〉와 규방가사의 전통」(박애경, 『민족문학사연구』 22,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