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교육에 관한 내용을 담은 산문 기록 「여자관감」에 부록 형태로 합본되어 있으며, 『여자관감』이라는 서책 제목이 붙어 있다. 「효열가」는 총 7면에 걸쳐 한 면에 15행씩 배열되어 있다. 고금 명저에 등장하는 효부나 열녀의 선행과 가언을 모은 「여자관감」의 내용을 노래로 부연한 것으로, 지켜야 할 덕목에 따라 서술의 단위를 나누고 있다. 이 작품은 가문 내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 부자가 창작 · 필사 · 제책한 규방가사 중 계녀가 계열의 가사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사구고(事舅姑)’에서부터 ‘치산(治産)’의 항목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덕목을 일목요연하게 서술한 소위 ‘전형 계녀가’와는 달리 여성의 도리로 ‘효(孝)’와 ‘열(烈)’을 강조하고 있다. 작품 말미에는 아들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후기가 남아 있어, 「효열가」의 창작 · 전승이 가문 내에서 이루어졌음을 알려준다.
「효열가」는 여성이 지켜야 할 핵심 윤리로 ‘효’와 ‘열’을 강조하고, 가족 간의 화합을 당부하는 작품이다. 작가는 「여자관감」의 내용을 “효자 열녀의 가언선행이라”라고 한 뒤 옛사람의 행실을 본받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서술방식을 보면, ‘효’ 부분에서는 직접적인 당부와 경계의 말이, ‘열’ 부분에서는 주로 『열녀전』의 전거가 우세하게 나타나 양자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작품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주로 시부모와의 관계에 치중하여 효의 이념을 역설하는 다른 계녀가와 달리 인간의 으뜸 윤리로서의 효를 거론하고, 혈육의 부모 즉 친정 부모에 대한 효 역시 중요하게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 작품에서는 시가의 일원으로 승인받고, 가문의 유지 · 번성을 위한 규범으로서의 효가 아니라 보편적인 인간 덕목으로서의 효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정 내 여성에게 여성의 도리를 전하기 위해 아버지가 짓고, 아들이 완성하여 규방문화권에 전승된 남성 창작 규방가사이며, 규방가사 문화권에서는 변방이라 할 수 있는 기호지방의 규방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