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방언 ()

언어·문자
개념
강원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정의
강원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개설

강원도방언은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 휴전선을 기준으로 이북 지역(이천·평강·김화·회양·통천)을 제외하고 이남 지역(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춘천·홍천·양양·횡성·평창·강릉·원주·영월·정선·삼척)의 방언을 주로 이르며, 태백산맥 내부 및 그 동쪽에 위치한 영동방언(영월·정선·평창·삼척·강릉·양양·고성)과 태백산맥 서쪽에 위치한 영서방언(철원·화천·양구·인제·춘천·홍천·횡성·원주)으로 나누어진다. 영동방언은 지리적으로 동북방언과 북부 동남방언의 사이에 있어서 이 두 방언의 접촉방언적인 특징과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는 반면, 영서방언은 음운·문법의 특징이 경기도방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음운 특징

강원도방언은 모음 면에서는 ‘ㅣ, ㅔ, ㅐ, ㅟ, ㅚ , ㅡ, ㅓ, ㅏ, ㅜ, ㅗ’와 같이 주로 10개의 단모음으로 되어 있다. 일부 강릉·삼척 지역에서는 반모음 ‘ㅣ’와 단모음 ‘ㅚ’가 결합한 특이한 이중모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자음 면에서는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으로 되어 있으며, ‘(등을) 걸고’와 ‘(걸음을) 걸꼬’에서 보듯이 형태음운의 교체에서 표준어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방언에서의 두드러진 특징은 성조와 음장인데, 영서방언은 음의 길이에 의해 의미가 구별되는 음장 방언에 속하지만, 영동방언은 음의 높낮이에 의해 의미가 구별되는 성조 방언인 강릉·삼척·영월 지역과 음장 방언이면서도 성조 방언의 영향을 받아 전이지역적인 성격(준성조 방언)을 띠는 정선·평창·양양·고성 지역으로 구별된다.

강원도방언은 음운변동과 관련해서 영서방언과 영동방언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어미 ‘-어/아’와의 결합을 보면, 영서방언에서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이겨(이기+어), 비벼(비비+어)’와 같이 반모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영동방언에서는 ‘이게(이기+어), 비베(비비+어)’와 같이 모음축약 현상이 나타난다. 이뿐만 아니라 ‘다레(다리+에), 접세(접시+에)’처럼 곡용상에서의 반모음화가 영동방언에서는 보이지만, 영서방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다르다. 자음군단순화 현상을 보면, 영동방언에서는 ‘말따(맑+다), 말꼬(맑+고) ; 발따(밟+다), 발꼬(밟+고)’처럼 어간말의 자음군 중 후행하는 자음이 탈락하는 반면, 영서방언에서는 주로 ‘막따(맑+다), 막꼬(맑+고) ; 밥따(밟+다), 밥꼬(밟+고)’처럼 어간말 자음군 중 선행하는 자음이 탈락한다.

문법 특징

강원도방언에서는 주격조사 ‘-이/가’가 널리 사용되지만, 영동방언에서는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 주격조사 ‘-이’가 수의적으로 결합하여 ‘코이(코+가), 오후이(오후+가)’가 나타나기도 하며, 강릉·양양·고성 지역에서는 ‘니거(네+가)’에서 ‘-거’가, 삼척 지역에서는 ‘뱀이가(뱀+이)’에서 ‘-이가’가 사용되기도 한다. 불규칙활용의 경우는 대부분 표준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영동방언에서는 동사 ‘듣-’이 ‘들꼬, 들으니, 들어’처럼 활용하여 표준어와 다른 양상을 보이며, 표준어에서 규칙활용을 하는 동사 ‘씻-’ 또한 ‘씯꼬(씻+고), 쎄라(씻+어라)’처럼 불규칙활용을 하기도 한다. 체언에서도 ‘잘기(자루+가), 잘게(자루+에), 자루도’에서처럼 불규칙곡용이 나타나며, ‘칼이래(칼+이야), 강릉이래요(강릉+이에요)’에서처럼 계사 ‘이’ 뒤에 종결어미 ‘-어/아’가 결합하거나, 첨사 ‘-요’가 결합하는 경우에 종결어미 ‘-어/아’가 ‘-래’로 나타나는 것이 영동방언의 특징이다.

피·사동 접미사가 결합하는 파생어 형성과정도 영서방언과 영동방언의 차이를 보여 주는데, 영동방언에서는 ‘사동 접미사 ‘-구-’가 생산적이어서 ‘줄구다(줄이다), 알구다(알리다)’ 등으로 나타나며, 피동 접미사 ‘-키-’ 또한 생산적이어서 ‘바꾸키다(바뀌다), 뵈키다(보이다), 뉘키다(뉘다)’ 등으로 나타난다. → 중부방언(中部方言)

참고문헌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김봉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강원도방언」(김봉국, 『방언학사전』, 2001)
「현대국어의 성조형과 그 분포」(최명옥, 『진단학보』 88, 1999)
「강원도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방언구획과 음운론적 특징을 중심으로」(한영균, 『남북한의 방언 연구』, 1992)
「강원도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이익섭, 『국어생활』 10, 1987)
『영동·영서의 언어분화─강원도의 언어지리학』(이익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