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체 이두 (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이두를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한문에 토를 넣어 사용한 이두. 표기법.
목차
정의
이두를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한문에 토를 넣어 사용한 이두. 표기법.
개설

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가 있다. 이 중 구결은 한문(漢文)에 토(吐)를 넣어 읽는 한문독법(漢文讀法)으로 일종의 차자표기이므로, 모든 차자표기를 가리키는 광의의 이두에 포함된다는 관점에서 구결을 부르는 이름이다.

내용

차자표기 중 고유명사 표기를 제외하면 향찰과 이두는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표기이며, 구결은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자표기다. 즉 향찰과 이두는 우리말을 적기 위한 차자표기이고, 구결은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한 차자표기이다.

일반적으로 구결은 한문(漢文)에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에 해당하는 토(吐)를 넣어 읽는 한국적 한문독법(漢文讀法)인데, 구결에 사용된 토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한자를 빌려다 썼다. 이와 같이 구결은 한자를 빌려다 쓴 일종의 차자표기이므로 우리말 표기를 위해 사용한 향찰이나 이두와는 다른 것이지만 차자표기라는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지닌다.

모든 자차표기를 이두라고 부르는 광의의 이두 개념에서 구결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참고문헌

『구결연구』 1∼36(구결학회, 태학사, 1996∼2016)
『고대한국어논고(古代韓國語論攷)』(남풍현, 태학사, 2014)
『고대한국어연구(古代韓國語硏究)』(남풍현, 시간의 물레, 2009)
『국어사를 위한 구결 연구』(남풍현, 태학사, 1999)
『한국어 변천사』(김동소, 형설출판사, 1998)
『한국어의 역사』(김종훈 외, 대한교과서, 1998)
『차자(借字) 표기법 연구』(남풍현,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1)
집필자
김성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