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가 있다. 이 중 구결은 한문(漢文)에 토(吐)를 넣어 읽는 한문독법(漢文讀法)으로 일종의 차자표기이므로, 모든 차자표기를 가리키는 광의의 이두에 포함된다는 관점에서 구결을 부르는 이름이다.
차자표기 중 고유명사 표기를 제외하면 향찰과 이두는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표기이며, 구결은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자표기다. 즉 향찰과 이두는 우리말을 적기 위한 차자표기이고, 구결은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한 차자표기이다.
일반적으로 구결은 한문(漢文)에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에 해당하는 토(吐)를 넣어 읽는 한국적 한문독법(漢文讀法)인데, 구결에 사용된 토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한자를 빌려다 썼다. 이와 같이 구결은 한자를 빌려다 쓴 일종의 차자표기이므로 우리말 표기를 위해 사용한 향찰이나 이두와는 다른 것이지만 차자표기라는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지닌다.
모든 자차표기를 이두라고 부르는 광의의 이두 개념에서 구결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