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권 37 지리지 마지막 부분에 동해통, 북해통, 해남통, 염지통, 북요통 등 교통로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오통(五通)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름 외에는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9주5소경을 설치하였다. 지방통치를 위해서 각 주의 치소와 소경 등을 왕래하는 교통로도 정비되었다. 그 가운데 해남통은 서라벌에서 남원소경(남원)을 거쳐서 무주와 전주 등 전라도 일대로 연결되는 교통로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남통은 명칭으로 보아 남해 방향으로 진출하는 교통로의 명칭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북해통, 동해통 등 다른 오통의 이름과 비교하여 볼 때 남해통(南海通)이라 부르는 것이 이상하다. 그런데 동해통과 북해통은 해안 지대를 통과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해남통은 해안이 아니라 내륙지역을 관통하여 바다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해남통은 '남쪽으로 향하여 바다에 이르는 길'이란 의미가 아닌가 한다.
해남통 방향의 교통로는 신라 초기 이서고국(청도), 비사벌국(창녕) 등을 정벌하면서 개척되었고 진흥왕대 대가야를 정벌한 후 정비되었다. 7세기 경 신라와 백제는 거창과 함양 및 운봉 일대에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이 당시 청도-창녕-거창-함양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군사도로로 재정비 되었다. 통일 후에는 무주(광주)와 전주 등 원래 백제 지역을 통치하기 위하여 전라도 일대까지 확대 정비되어 해남통으로 불렸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