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암사대교 ()

교통
지명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한강 교량.
지명/시설
건립 시기
2015년 6월
길이
2,740m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경기도 구리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구리암사대교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과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을 잇는 한강 교량이다. 한강의 30번째 교량으로, 2014년에 개통되었으며 총 사업비는 4,117억 원이다. 왕복 4~6차로이며 최대 너비는 44m, 총 길이는 다리 1,130m, 연결 도로는 1,610m로 총 2,740m이다. 2006년 착공되어 2014년 11월 임시 개통되었으며, 2015년 6월에 완공되었다. 연인원 25만여 명, 중장비 5만여 대가 투입되었으며 강판 24,492톤, 철근 11,721톤, 레미콘 76,000㎡, 아스콘 21,887톤이 사용되었다.

키워드
정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한강 교량.
건립 경위

구리암사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30번째 다리로, 천호대교올림픽대교 등에 집중되는 교통량을 분산하면서 서울 동부권에 급증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형성 및 변천

주1은 한강을 가로지르는 30번째 교량으로, 왕복 4~6차로이며 최대 너비는 44m이다. 다리 부분이 1,130m이고 연결도로는 1,610m로 총 2,740m이다. 원래는 2005년에 착공하여 2008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어 2006년 9월에 착공되었다. 2014년 11월에 임시 개통되어 2015년 6월에 완공되었다.

처음에는 가칭 암사대교로 불렸다. 구리시에서 구리대교로 주2을 요구하여 마찰이 있었고, 2008년 8월 26일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구리암사대교로 명명할 것을 최종 확정하였다.

교량 건설에 투입된 총 사업비는 4,117억 원으로 추산된다. 연인원 25만여 명, 중장비 5만여 대가 투입되었으며, 주요 자재인 주3은 24,492톤, 철근은 11,721톤, 주4은 76,000㎡, 주5은 21,887톤이 사용되었다.

주 교량의 주6를 설치하기 위해, 육상에서 사전 제작한 아치교(길이 157m, 높이 28m)를 레일을 이용해 수상까지 이동 시킨 후 주7에 선적하여 주8으로 바지를 주9 위치까지 운송하였다. 그리고 바지 위에 설치되어 있는 가설 벤트 타워의 주10 8기를 이용해 3,230톤에 달하는 아치교를 14m 들어 올리고, 이미 설치된 시종점부 주11와 연결해 총 7,936개 볼트로 고정시켰다.

특히 구리암사대교 공사 현장 인근에 위치한 암사 정수장 오염 방지 및 광나루 한강 공원의 생태 환경 보전을 위해 주12 교량 전 구간(L=1,133m)을 강상판형(steel box) 교량으로 시공해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사전에 제거했다.

현황

구리암사대교의 건설과 함께 용마 주13이 개통되어 서울 중랑구와 강동구 고덕동 지역이 직접 연결되었다. 서울 중랑과 강동지역은 아차산과 한강으로 단절되어 있었지만, 구리암사대교가 개통됨으로써 천호대교와 강동대교로 우회했던 교통량이 분산되었다. 이를 통해 강남북 지역 간 이동 시간이 30~40분에서 10분대로 대폭 단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조서』 (국토교통부, 2022)

인터넷 자료

서울특별시 홈페이지(https://news.seoul.go.kr/citybuild/archives/220557)
주석
주1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우리말샘

주2

사람, 사물, 사건 등의 대상에 이름을 지어 붙임. 우리말샘

주3

강철로 만든 철판. 우리말샘

주4

콘크리트 제조 공장에서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차에 실어 그 속에서 뒤섞으며 현장으로 배달하는 콘크리트. 우리말샘

주5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줄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구조물의 주체가 아치로 만들어진 다리. 우리말샘

주7

운하ㆍ하천ㆍ항내(港內)에서 사용하는, 밑바닥이 편평한 화물 운반선. 우리말샘

주8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다른 배를 끌고 가는 배. 우리말샘

주9

다리를 받치는 기둥. 우리말샘

주10

유압으로 수하물을 들어 올리는 소형 기중기. 우리말샘

주11

기둥과 기둥 사이의 구조를 강철을 주로 하여 만든 다리. 우리말샘

주12

도로, 철도, 전신 따위에서 원줄기가 되는 주된 선(線)을 지선(支線)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서울특별시 중랑구와 경기도 구리시 사이의 아차산을 뚫은 터널. 2014년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2,563미터. 우리말샘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