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
조선 후기 삼정(三政)의 잘못을 바로잡는 임시 관서. # 내용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한 관서이다. 조선 후기의 이정청(釐整廳)은 원래 군제(軍制)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良役)의 변통(變通)을 위한 제도로서 1703년(숙종 29)에 설치하여 각 군문(軍門)의 군액(軍額)을 감하고, 일영오부제(一營五部制)로 개혁되었다.
그러나 경비의 부족으로 오부제의 편성도 백성에게 많은 부담을 주게 되어 여러가지 변통절목(變通節目)을 정하였으나, 그 또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영조 때 균역법(均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