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화재집(團和齋集)
권1∼4에 시(詩) 490수, 부시(附詩) 37수, 권5에 시 229수, 교서(敎書) 1편, 사제문(賜祭文) 1편, 진향문(進香文) 3편, 전문 15편, 표(表) 3편, 상량문 2편, 명(銘) 1편, 불윤비답(不允批答) 1편, 논 1편, 찬(贊) 1편, 상소 2편, 강설(講說) 25편, 주표(奏表) 6편, 권6에 제문·묘표·묘지·묘갈명·향약지(鄕約誌), 잡저(雜著)로 기·서(序)·설·노정기(路程記)·제서(題書)·상량문 등과 과제(科製)로 부·시·표·의·책 등이 실려 있다. 시들은 시기에 따라 연대순으로 배열되었으며 부주(附註) 등이 상세하게 첨가되었다. 권1은 「동년집(童年集)」으로 저자가 11세 때부터 두보(杜甫)의 시를 외우고 지은 수백 수 가운데 약간만을 골라 실었다고 되어 있다. 잡저 중의 「노정기」는 제주도 부임시의 노정일기를 적은 것이며, 주로 벼슬에 있을 때 나라에...